"독재자 돌아오려 해"…미국 전역서 대규모 反트럼프 시위

'손 떼라' 시위 후 2주 만…트럼프 행정부 정책 전방위적 비판
일론 머스크에 대한 비판도…"우리 데이터·돈·민주주의에 손대지 마"

미국 전역에서 1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2025.4.20. ⓒ AFP=뉴스1
미국 전역에서 1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2025.4.20. ⓒ AFP=뉴스1

(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미국 전역에서 1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행정부의 정책을 비판하는 시위가 일었다.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50501' 운동의 주도하에 이날 미국 소도시와 대도시에서 수백 건의 시위가 열렸다.

'친 민주주의, 친 헌법, 반 행정권 남용, 비폭력 풀뿌리 운동'을 표방하는 50501은 소셜미디어 레딧에서 시작된 운동으로 50개 주에서 하루에 50개의 시위를 열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50501측에 따르면, 플로리다 잭슨빌에서 로스앤젤레스까지 이날 하루 동안 700개 이상의 시위가 계획되어 있으며 뉴욕 맨해튼 미드타운의 매디슨 애비뉴에선 15개 구역이 시위대로 가득 찼다고 설명했다.

미국 독립전쟁 발발 250주년에 열린 이날 시위는 지난 5일 전국적으로 50만 명 이상이 참가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을 비판하는 '손 떼라'(Hand Off) 시위 후 2주 만이다.

시위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민의 자유와 법치를 짓밟고 있으며, 이민 문제, 연방 일자리 축소,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나치게 권한을 남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50501은 이날을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인 이민 정책, 예측 불가능한 관세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 연방 공무원 감축 등에 대응하는 '행동의 날'로 규정했다.

NYT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대규모 시위들은 보통 하나의 주제에 집중했지만 이날 시위는 연방 일자리 감축, 은퇴 연금, 재향군인 권리, 사회보장, 우크라이나 전쟁, 성전환 및 성소수자 권리, 자폐증 및 백신 관련 허위 정보 등 다양한 사안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고 전했다.

워싱턴에선 수천 명의 시위대가 실수로 추방된 엘살바도르 이민자 "킬마르를 집으로 데려오라"는 구호를 외치며 성조기와 "트럼프는 물러가라"(TRUMP MUST GO) 현수막을 들고 백악관으로 행진했다. 또한 백악관 앞 시위대들은 "수치다"(Shame)라는 구호를 반복적으로 외쳤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엘살바도르 출신 킬마르 아브레고 가르시아가 'MS-13' 갱단원으로 착각해 엘살바도르 교도소로 추방했다.

뉴욕 맨해튼과 신시내티 등에선 관세와 공포의 합성어인 'Tarrifed'라는 팻말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아프탑 퓨레발 신시내티 시장도 시위에 참가해 "투표로 그들을 몰아내자"(VOTE THEM OUT)라는 구호를 주도했다. 퓨레발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가 공무원을 감축하고 관세를 부과하며 경제를 잘못 운영해 서민 가정이 필요한 모든 것이 비싸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위대들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DOGE)를 이끌며 공무원 감축을 주도한 일론 머스크도 비판했다.

시위대들은 "부패의 철자가 어떻게 되죠"라는 구호에 "일론(E-L-O-N)"이라고 외쳤다.

한 남성은 '우리 데이터, 돈, 민주주의에 손대지 마라'는 팻말을 들었고 한 여성은 유모차를 밀며 '가족이 억만장자보다 우선'이라는 팻말을 들었다.

매사추세츠 콩코드에선 미국 독립 250주년 기념행사와 엮어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했다.

코넌 월터(65)는 "독립 기념행사는 우리가 영국 왕의 독재로부터 벗어난 걸 기리는 행사"라며 "그 독재가 오늘날 다시 돌아오려 하고 있고, 우리는 그에 맞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yellowapollo@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