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푸틴 더티딜' 우크라·유럽 우려 점증…美 "채찍도 준비" 조절

EU 고위관리 "우크라 없는 더티딜 우려"…젤렌스키 "우리 배제 용납 못해"
밴스 美부통령 "대러 제재와 군사행동도 살아 있어"…트럼프·헤그세스 발언 수습

본문 이미지 - ⓒ News1 DB
ⓒ News1 DB

(서울=뉴스1) 강민경 김예슬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대표단을 유럽에 파견한 가운데 미국은 협상이 러시아에 유리하게 흘러갈 수 있다는 서방의 우려에 대응하고 있다.

우크라이나가 협상에서 소외된 채 일방적인 양보를 강요당하는 이른바 '더티 딜'(dirty deal)에 대한 유럽의 경계가 높아지자, 미국은 아직 △미군의 우크라이나 파병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크림반도 수복 등을 협상에서 배제하지 않는다며 유화적인 모습을 취했다.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이날 러시아에 대한 추가 경제 제재와 군사 행동 가능성을 거론하며 당근뿐 아니라 '채찍' 또한 준비됐음을 시사했다.

본문 이미지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부터), 볼로드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 AFP=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부터), 볼로드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 AFP=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밴스 부통령은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협상에 실패할 경우 우크라이나에 미군을 파견하는 옵션이 여전히 검토되고 있다"고 밝혔다.

존 콜 우크라이나 전쟁 부특사 또한 이날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문제와 우크라이나의 국경을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병합 이전으로 돌리는 문제도 협상에서 배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푸틴과 러시아인들에 대해 모른다"며 "그들이 우리를 가지고 놀려고 하는지, 아니면 진심인지는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으면 바로 알 수 있을 것"이라며 협상 결과를 예단하지 말라는 취지로 발언했다.

본문 이미지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브래디 룸에서 여객기-군용 헬기 충돌·추락 사고와 관련한 기자회견에 JD 밴스 부통령, 피트 헤그세스 국방 장관과 도착을 하고 있다. 2025.01.31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브래디 룸에서 여객기-군용 헬기 충돌·추락 사고와 관련한 기자회견에 JD 밴스 부통령, 피트 헤그세스 국방 장관과 도착을 하고 있다. 2025.01.31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방 경계심 촉발한 트럼프·헤그세스 친러 행보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의 종전 의지를 신뢰한다면서 "나는 그를 아주 잘 안다"고 발언했다.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은 전날 우크라이나 방위연락그룹(UDCG) 회의에서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과 영토 수복을 '비현실적'이라고 치부하며 우크라이나에 미군을 파병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영국 BBC 방송은 트럼프가 푸틴을 협상 테이블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면서 3년 동안 '국제 왕따'였던 푸틴이 양지로 나와 협상을 주도할 수 있게 됐다고 지적했다.

우크라이나와 유럽연합(EU)은 반발했다. 카야 칼라스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빠른 종전만을 위한 '더티 딜'이 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뮌헨안보회의 참석을 위해 출국하는 길에 기자들에게 "우리가 배제된 어떤 합의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강경하게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도 이 같은 반응을 의식한 듯 러시아와의 종전 협상에 우크라이나도 참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pasta@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