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대만 정부는 자국산 반도체에 미국의 관세가 부과되면 어떤 결과가 나타날지 가상 실험을 실시한 뒤 대응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15일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궈즈후이 대만 경제부장(장관)은 이날 입법원(의회) 밖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문제를 미국과 논의해 대만 산업을 위한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궈 부장은 대만과 미국의 반도체 산업이 상호 보완적이라면서 "관세가 얼마나 부과될지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것이며 이 문제에 관해 미국 측과 최대한 소통하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발언은 미 상무부가 전날 반도체와 반도체 장비, 파생 제품의 수입이 미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발표한 가운데 나왔다.
특정 품목이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판명되면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조처다.
궈 부장은 대만산 반도체에 부과될 관세를 어떤 수준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을 받고 "(미국과의) 대화 결과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답했다.
대만은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업체인 TSMC를 보유했다. TSMC는 애플과 엔비디아 같은 미국 기술 대기업에 핵심 반도체를 제공한다.
지난 14일 엔비디아는 TSMC 등 협력사들의 도움을 받아 향후 4년 동안 미국에 5000억 달러(약 710조 원) 규모 인공지능(AI) 서버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한편 지난 2월 대만의 또 다른 반도체 기업 미디어텍 또한 미국 관세의 영향을 시뮬레이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past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