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이른 시일 내 협상 타결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던 일본과의 무역 협상이 진전되지 못하고 있는 만큼 미국 백악관의 관세 협상 시계가 늦춰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 경제지 포춘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백악관은 일본과의 무역 협상 초기에만 해도 체결이 임박했다는 신호를 보냈다. 백악관은 "협상이 큰 진전을 보이고 있다"는 공식 입장을 냈으며 "모든 주도권이 미국에 있다"고 강조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75개국 이상이 미국과의 협상을 위해 줄 서 있다고 자신있게 알리기도 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일본 대표로 방문하는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트럼프 행정부와 가장 먼저 무역 협정을 체결하는 "퍼스트 무버"로서 특혜를 누릴 것이라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16일 빈 손으로 귀국했으며 지역 언론에 "(미국에) 굉장히 후회될 만한 행동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라"고 촉구했다고 전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미국과의 무역 협상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토로했다.
여기에 가토 가쓰노부 일본 재무상이 21일 이후 미국을 방문해 베선트 장관과 옌 환율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지만, 일본 측은 미국의 요구를 거절할 가능성이 높다고 포춘은 전망했다.
이에 미국이 당초 제시했던 '90일간 90개의 협정 체결' 시나리오를 향한 회의론이 강해졌다는 설명이다.
맥쿼리의 금리 전략가인 티에리 위즈만과 가레스 베리는 "우리뿐 아니라 많은 관측자들이 일본을 초기 시험대로 보았다"며 "그러나 지난주 미·일 간 양자 협상은 합의의 윤곽조차 드러나지 않은 채 종료됐다"고 진단했다.
이어 "게다가 이시바 총리는 7월 20일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기에 미국에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기가 어렵다"며 일본의 국내 정치 상황도 협상 타결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포춘은 중국을 위시한 국제사회의 반발도 협상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최근 "국익을 해치는 국가에는 보복하겠다"고 경고하는 등 미국에 맞서고 있는데, 이는 중국과의 무역 규모가 큰 국가들에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위즈만과 베리는 "결국 지난주 미·일 협상 과정을 보면 양자 간 실질적 양보를 주고받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며, 이러한 흐름은 7월 이후까지도 이어질 수 있다"며 "처음에는 시장도 무역 협정이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 기대했지만, 이제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여기에 미국의 무역 파트너들은 트럼프 임기 말까지 협상을 끌며 미국의 경제 둔화 속에 더 나은 조건을 이끌어내려 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alicemunr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