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지완 기자 = 태국 정부가 불법 사업체에 의한 무비자 체류 제도의 악용을 막기 위해 무비자 체류 기간을 60일에서 30일로 단축하기로 했다.
17일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소라웡 티엔통 태국 관광체육부장관은 모든 이해관계자와 함께 무비자 체류 제도 악용 문제를 광범위하게 논의했으며 이와 같은 체류 기간 단축에 원칙적으로 동의했다고 밝혔다.
다만 추가적인 세부 사항은 이번 결정을 공식적으로 발표하기 전에 더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태국 정부는 지난해 7월부터 한국을 포함한 93개국 국적자에게 60일 이내의 관광 목적 체류를 허용해 왔다. 이 전에는 57개국 국적자를 대상으로만 적용됐다.
그러나 관광업계는 장기 체류 관광객들도 평균 14~21일 정도밖에 체류하지 않고 단기 체류 관광객들은 평균 7일 정도만 체류한다며 무비자 체류 대상 확대에 의문을 표시했다. 태국 여행사협회는 관광체육부에 불법으로 일하거나 사업체를 운영하는 외국인이 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나트리아 타위웡 관광체육부 차관은 관광 사업체 및 관광 가이드법을 더 엄격히 집행할 것을 지시했다며, 관광청과 관광경찰 등 6개 기관이 운영하는 특별합동작전센터가 푸껫, 방콕, 치앙마이, 파타야, 후아힌, 꼬사무이 등 유명 관광지에서 불법 행위를 집중 단속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지난해 40개 업체의 영업 허가가 취소됐고 푸껫에서만 15개 여행사가 영업 정지 처분을 받았다. 한 업체는 무려 5개 이름으로 영업하다 적발되기도 했다.
한편 지난해 태국은 총 350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했다. 이중 한국인은 약 186만 명으로 중국(670만 명), 말레이시아(493만 명), 인도(212만 명)에 이어 네 번째로 많았다. 외국인 관광객들은 지난해 약 1조 6600억 밧(약 71조 2500억 원) 이상을 지출했다.
gw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