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문영광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 최초로 UFC 공식 입장 행사에 참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UFC 경기가 열린 마이애미 카세야 센터를 찾았다. 등장 음악에 맞춰 당당하게 걸어 들어오는 트럼프 옆에는 그의 손녀 카이 트럼프가 함께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입장하자 장내는 그야말로 열광의 도가니였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 플래카드가 펄럭였고, 지난해 유세현장 피습 당시 사진을 든 팬도 보였다.
입장 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재선에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 팟캐스터 조 로건과 포옹하며 긴 안부를 주고받았다. 조 로건은 전 UFC 해설자이자 세계 최대 규모의 팟캐스트 운영자다.
관중의 계속된 환호에 주먹을 치켜들며 화답한 트럼프 대통령은 전매특허인 YMCA 댄스도 가볍게 선보였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일론 머스크와 그의 아들 릴 엑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장, 캐시 파텔 FBI 국장까지 대동했다.
CNN은 "트럼프가 백악관 오벌 오피스를 옥타곤(UFC 경기장)으로 옮겼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트럼프는 당선인 신분이던 지난해 11월에도 뉴욕에서 열린 UFC 현장에 등장했으며 NFL 결승전인 슈퍼볼, 나스카 자동차 경주 등 굵직한 스포츠 이벤트를 참관했다.
이유는 명확하다. 백인 남성층, 특히 ‘강한 남성상’을 추구하는 보수적 커뮤니티에 강하게 어필하는 것이다.
'조 로건 쇼'를 비롯한 남성 중심 미디어에 출연한 것도 UFC 팬덤과 완전히 겹치는 지지층을 공략하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이날 트럼프의 바로 옆에 앉아 경기를 관람한 머스크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졌다.
최근 극한으로 치닫는 미-중 관세전쟁으로 중국의 테슬라 판매 중단 등의 조치가 이어지면서 트럼프와 머스크의 동맹에 균열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UFC 동행을 통해 머스크는 여전히 트럼프의 옆자리, 곧 정치적 중심에 함께하고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시켰다.
#트럼프 #UFC #머스크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UFC 경기가 열린 마이애미 카세야 센터를 찾았다. 등장 음악에 맞춰 당당하게 걸어 들어오는 트럼프 옆에는 그의 손녀 카이 트럼프가 함께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입장하자 장내는 그야말로 열광의 도가니였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 플래카드가 펄럭였고, 지난해 유세현장 피습 당시 사진을 든 팬도 보였다.
입장 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재선에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 팟캐스터 조 로건과 포옹하며 긴 안부를 주고받았다. 조 로건은 전 UFC 해설자이자 세계 최대 규모의 팟캐스트 운영자다.
관중의 계속된 환호에 주먹을 치켜들며 화답한 트럼프 대통령은 전매특허인 YMCA 댄스도 가볍게 선보였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일론 머스크와 그의 아들 릴 엑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장, 캐시 파텔 FBI 국장까지 대동했다.
CNN은 "트럼프가 백악관 오벌 오피스를 옥타곤(UFC 경기장)으로 옮겼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트럼프는 당선인 신분이던 지난해 11월에도 뉴욕에서 열린 UFC 현장에 등장했으며 NFL 결승전인 슈퍼볼, 나스카 자동차 경주 등 굵직한 스포츠 이벤트를 참관했다.
이유는 명확하다. 백인 남성층, 특히 ‘강한 남성상’을 추구하는 보수적 커뮤니티에 강하게 어필하는 것이다.
'조 로건 쇼'를 비롯한 남성 중심 미디어에 출연한 것도 UFC 팬덤과 완전히 겹치는 지지층을 공략하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이날 트럼프의 바로 옆에 앉아 경기를 관람한 머스크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졌다.
최근 극한으로 치닫는 미-중 관세전쟁으로 중국의 테슬라 판매 중단 등의 조치가 이어지면서 트럼프와 머스크의 동맹에 균열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UFC 동행을 통해 머스크는 여전히 트럼프의 옆자리, 곧 정치적 중심에 함께하고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시켰다.
#트럼프 #UFC #머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