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장성희 기자 = 40개 의과대학 의대생들이 사실상 전원 복귀를 결정했지만 수업 참여는 저조한 가운데 교육부가 각 의대에 의대생들의 집단 수업 거부를 강요하는 행위에 대해 엄정하게 대응해달라고 요청했다.
교육부는 2일 각 대학에 보낸 공문에서 "최근 대학별 등록·복학일 도래에 따라 교육부 '의과대학 학생 보호·신고센터'를 통해 미복학·미등록 인증 등을 종용하는 집단행동 강요 피해 사례 신고가 계속되고 있다"며 학생들의 집단행동 강요로 인해 형사책임을 지는 불행한 일이 없도록 적극 지도해 달라"고 안내했다.
이어 "특히 어렵게 용기를 내 복귀하거나 복귀를 희망하는 학생들에 대한 피해 사례를 인지할 경우 학칙에 따라 신속히 사실관계를 조사하고, 조사 결과에 따라 책임소재를 명확히 해 엄정하게 조치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의대생들은 의대 학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를 중심으로 '등록 후 수업 거부'에 힘을 모으는 분위기다.
앞서 의대협은 이날 오전 협회 공지를 통해 "협회의 방향성이 투쟁으로 수렴됐다"며 "각 학교에서는 대의원의 안내를 잘 따라달라"고 알렸다.
의대협은 또 1학기 수업에 참여한 의대생 비율이 3.87%에 불과하다고 했다. 의대협은 "'전원 복귀'라는 기사가 많았지만 결국 어디에도 학생들이 가득 찬 교실 사진은 보이지 않는다"며 "의미 있고 조속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 의과대학 가운데 유일하게 미등록 방침을 유지했던 인제대 의대 학생 370명이 이날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40곳 의대 모두 전원 복귀로 돌아섰다.
교육부는 대학별 의과대학의 수업 진행 상황을 살펴보고, 의총협(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 협의회)·KAMC(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등 의학 교육계와 종합적으로 논의해 모집인원 조정 방향을 발표할 방침이다.
grow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