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조용훈 기자 = 서울 강남권 아파트 공시가격이 급등하면서 보유세 부담이 증가할 전망이다. 세 부담에 매각 압력이 높아졌으나 집주인들은 보유 전략을 선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추가 가격 상승 기대감·안전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고려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강남권 주택 소유자에게 실제 늘어나는 세액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1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전년 대비 평균 3.65% 상승했다. 특히 같은 기간 서울은 7.86% 올랐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의 상승 폭이 컸다. 실제 서초구가 11.63%로 서울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강남구 11.19% △송파구 10.04% 등이 뒤를 이었다.
공시가격 상승으로 일부 고가 아파트의 보유세 부담이 많이 늘어날 전망이다.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9차 아파트(전용면적 111㎡)의 보유세는 1328만 원에서 1848만 원으로 39%(508만 원)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전용면적 84㎡)의 보유세도 지난해 478만 원에서 올해 579만 원으로 약 21%(101만 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세 부담 증가에도 집주인들이 매각을 서두르지 않을 것으로 분석한다. 실제 늘어나는 세 부담이 집값 상승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기 때문이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강남구는 보유세보다 집값이 더 오르는 게 사실"이라며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공급 희소성·안전자산 역할 기대 등을 고려하면 당장 매각하려는 집주인이 많지 않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우병탁 신한은행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도 "보유세 상승보다 실제로는 시세 상승이 더 컸다"고 강조하며 매물 출회 가능성이 작다고 전망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자산 여력이 부족한 다주택자의 경우 매물을 내놓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강남권 보유세 인상으로 자산 여력이 없는 다주택자의 매물 증가가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고가 아파트 시장의 가격 상승세 둔화 또는 단기 조정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한편 이번 공시가격(안)은 부동산 가격 알리미 사이트와 각 지자체 민원실에서 열람할 수 있다. 국토부는 의견 청취 절차와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4월 30일에 최종 공시가격을 확정·발표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2025년 부동산 가격 공시를 위한 현실화 계획 수정 방안에 따라 시세반영률(69%)을 유지했다"며 "물가 상승과 세금 부담을 고려해 국민 부담을 최소화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joyonghu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