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전준우 기자 = 전국 아파트 하락 거래 비중이 6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서울은 여전히 상승 거래 비중이 높지만, 금천·노원구는 하락 거래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1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격을 분석한 결과 1월 거래 중 전국 44.9%는 종전 거래가격과 비교해 낮은 가격에 거래됐다.
하락 거래 비중은 2024년 8월부터 증가세를 보이기 시작해 2024년 11월에는 상승 거래 비중과 비교해 하락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커졌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하락 거래 비중이 2024년 12월 43.4%로 집계되며 상승 거래 비중보다 높아졌고, 올해 1월도 43.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여전히 상승 거래 비중이 높은 가운데 경기와 인천 아파트 거래가격이 약세를 보이면서 수도권 하락 거래 비중을 높였다.
서울은 금천구(66.7%), 노원구(55.7%)에서 하락 거래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구축 중소형 면적 위주로 거래가 이뤄졌지만, 거래가격은 종전 가격보다 낮았다.
경기지역에서는 성남시 수정구(61.5%), 이천시(61.1%), 안산시 상록구(61.0%), 동두천시(60.0%), 의왕시(55.9%), 용인시 처인구(51.8%), 의정부시(50.8%), 파주시(50.4%), 고양시 일산동구(50.0%)가 1월 아파트 거래의 절반 이상이 종전거래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됐다.
인천은 중구(52.8%), 남동구(51.6%)의 하락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었고, 연수구도 49.3%로 절반에 육박하는 거래가 종전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됐다.
지방은 대전 49.2%, 제주 49.0%, 부산 47.1%, 대구 46.3% 등 순으로 하락 거래 비중이 컸다.
경기 침체, 정국 불확실성, 금리 인하 지연 등의 영향으로 매수 관망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움츠린 거래 시장이 쉽사리 살아나긴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지방은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지난해 말 2만 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 더욱 불안한 분위기다.
직방 관계자는 "인구 감소, 수요 감소, 지역 경제 불안 등으로 수요가 제한된 데다 준공 후 미분양까지 더해져 거래 시장의 위축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수도권은 매수 관망세가 짙은 가운데 일부 단지의 거래는 이어지고 있어 국지적인 수요로 상승세가 혼재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junoo568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