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땅값' 2.15%↑…반도체 산단 '용인 처인구' 5.87% 급등

상승률, 23년 대비 1.33%p 확대…서울 3.10%·경기 2.55% 순
전체 토지 거래량, 187.6만 필지…1년 전보다 5만 필지 증가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첨단산업단지가 조성되는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과 남사읍 일대 전경.(용인시 제공) ⓒ News1 김평석 기자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첨단산업단지가 조성되는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과 남사읍 일대 전경.(용인시 제공) ⓒ News1 김평석 기자

(세종=뉴스1) 조용훈 기자 = 지난해 전국 지가가 평균 2.15% 상승했다. 서울은 3.10% 올라 17개 시·도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용인 처인구는 반도체 클러스터 개발 호재에 평균 5.87% 급등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이런 내용의 2024년 연간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을 발표했다.

지난해 전국 땅값은 평균 2.15%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상승폭은 2023년(0.82%) 대비 1.33%p(포인트) 커졌다. 수도권(1.08%→2.77%) 및 지방권(0.40%→1.10%) 모두 전년 대비 확대됐다.

본문 이미지 - 시도별 2024년 연간 지가변동률(%).(국토교통부 제공)
시도별 2024년 연간 지가변동률(%).(국토교통부 제공)

시·도 중에서는 △서울(3.10%) △경기(2.55%)가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반면 제주(-0.58%)는 유일하게 하락했다.

시·군·구 중에서는 △용인 처인구 5.87%로 가장 많이 올랐고, △서울 강남구(5.23%) △성남수정구(4.92%) 등이 뒤를 이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용인 처인구는 반도체 클러스터 이슈로 지가가 크게 올랐다"고 전했다. 현재 정부는 경기 용인 처인구 남사·이동읍 일대 728만㎡(약 220만평) 부지에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 반도체 단지를 조성 중이다. 준공 때까지 최대 360조 원에 이르는 민간투자가 이뤄질 전망이다.

용도 지역별로는 △상업지역(2.46%) △공업용(2.50%) △주거(2.28%) 등 순으로 상승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전국 지가는 2023년 3월(0.008%) 상승전환 후 22개월 연속 상승하다 2024년 10월부터 2개월 연속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건축물 부속토지를 포함한 전체토지 거래량은 187만 6000필지(1236.3㎢)로 집계됐다. 1년 전 대비 2.7%(5만 필지) 늘어난 규모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66만 1000필지(1125.9㎢)로, 2023년 대비 7.0%(5만 필지) 줄었다.

지역별 전체토지 거래량은 △울산(18.4%) △서울(12.3%) 등 9개 시·도가 증가했고, △광주(-9.3%) △제주(-6.2%) 등 8개 시·도는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서울(22.1%) △대전(11.0%) 등 4개 시·도가 늘었고, △광주(-24.3%) △제주(-15.5%) 등 13개 시·도가 감소했다.

joyonghun@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