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16일 12·3 비상계엄 이후 휴대전화 기기를 변경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놓고 맞붙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이날 오전 전체회의를 열고 최 부총리의 탄핵소추 사건 조사 청문회를 실시했다.
최 부총리는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비상계엄 후 휴대전화와 유심칩을 바꾼 적이 있냐는 취지로 묻자 "없다"고 답변했다.
이에 민주당 소속 정청래 법사위원장은 장경태 의원실이 통신사로부터 받은 자료를 근거로 "최상목 증인은 (휴대전화를) 바꾸지 않았다고 했지만, 자료 상엔 2024년 계엄 직후인 12월 7일 바꿨다고 확인된다. 자료가 잘못됐냐"고 물었다.
최 부총리는 "(김 의원은) 계엄 이후에 바꿨냐고 말씀하셨다"며 "(당시 휴대전화가) 고장 났기 때문에 바꾼 건 맞다"고 말했다. 이어 "고장이 나서 (바꿨다)"며 "제가 바꾼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정 위원장은 "(정확한 답변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가 드리겠다"며 "이건 분명한 위증"이라고 주장했다.
위증이 거론되자 양당은 고성을 주고받았다.
야당은 최 부총리를 향해 "거짓말"이라며 소리쳤다.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은 "위증에 대해 사과하라"고 했다.
야당의 반발이 거세지자 국민의힘은 "증인을 협박하지 말라"고 응수했다.
최 부총리는 다시 "정확한 날짜를 기억하지 못하고 있었다"며 "그런데 제가 의도적으로 바꾼 건 아니고, 현재 둘 다 가지고 있다"고 답했다. 또 "위증한 건 전혀 없다"며 "오해를 불러일으켜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박 의원은 "기억을 못하면 문신을 하라"고 비꼬았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질의를 통해 "왜 사과를 못 받아서 난리인지 저는 모르겠다"며 "질문의 핵심은 휴대전화 관련해 비상계엄 이후로 증거인멸용으로 (휴대전화를) 없앤 적 있느냐고 물어본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 부총리는) 휴대전화가 고장 나서 바꾼 거고 바꾼 휴대전화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며 "증거인멸할 의도로 교체한 적이 없다"고 했다.










kim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