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일창 한재준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를 결정할 경선 방식을 두고 논의를 거듭한 당 대선특별당규위원회가 12일 '권리당원 50%와 일반 국민(여론조사) 50%'가 참여해 후보를 선출하기로 잠정 결론 내렸다.
특별당규위는 이날 오전부터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당원 토론회 후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당규위가 결정한 경선룰은 이날 잇따라 열리는 의원총회와 최고위원회의, 당무위원회 등을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이후 당은 경선 여론조사 등에 참가할 국민을 내주 말까지 모집해 19일부터 2주간 주말 이틀을 이용해 4개 권역 순회 경선을 실시한 후 최종 후보를 선출한다.
당내에서는 '권리당원 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국민참여경선'과 당원과 일반 국민 모두에게 1인 1표를 보장하는 방식인 '국민경선' 방식이 충돌했었다.
당원 비율이 최대 50%까지인 국민참여경선의 경우 당 대표를 연임하며 권리당원 다수의 절대적 지지를 받는 이재명 전 대표에게 유리하다.
민주당은 지난 19·20대 대선에서 국민경선 방식으로 대선을 치른 바 있다.
특별당규위는 국민경선 방식으로 후보를 선출할 경우 국민선거인단 모집 과정에서 역선택(상대 당 지지자 등이 조사에 참여해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를 끌어내리는 것) 위험이 높다고 봤다.
역선택 방지 장치를 적용하기 어려운 데다 당원과 일반국민이 1인 1표를 행사한다는 점에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선까지 일정을 고려하면 국민선거인단을 모집하는 데 시간이 촉박하다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지난 대선에서 이 전 대표는 2차 경선까지 순항하다가 3차 경선에서 이낙연 후보에게 덜미를 잡히며 위기를 맞은 바 있다.
특별당규위가 국민참여경선으로 경선룰을 잠정 정하면서 비명계(비이재명계) 주자들의 반발이 더 거세질 전망이다.
경선 참여 의사를 밝힌 김두관 전 의원은 뉴스1과 통화에서 "경선룰 관련 연락을 전혀 받은 적이 없다. 완전 제멋대로 하고 있다"며 "지금도 '어대명'이라고 하며 압도적인 1위를 달리는 후보를 위해 왜 그러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이날 미국 출장에서 돌아온 김동연 경기지사 측은 "이번 발표는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 달라는 요구를 헌신짝 집어던지듯 내팽개친 것이나 다름없다"며 "김동연캠프는 '국민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에 대해 단호히 반대한다"고 했다.
ic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