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대선 국힘 잠룡 총출동…경선 흥행으로 '李 대세론' 깬다

10여명 출마 '컨벤션 효과' 노려…정권 수성 위한 경쟁 돌입
김문수 안철수 시작으로 이번 주 대선 출마 선언 줄줄이 예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마친 후 나서며 기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이날 김 장관은 21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2025.4.8/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마친 후 나서며 기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이날 김 장관은 21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2025.4.8/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한상희 기자 = 6·3 조기 대선 레이스가 본격적으로 막을 올렸다. 국민의힘에선 '이재명을 넘을 수 있는 유일한 카드'를 자처하며 10여 명이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하지만 누구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양자대결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여권의 최대 고민은 '이재명을 꺾을 대항마'가 없다는 점이다. 국민의힘이 경선 흥행을 통해 '컨벤션 효과'를 끌어내고, 이를 발판 삼아 '이재명 대세론'에 균열을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본문 이미지 - 오세훈 서울시장이 8일 서울 금천구의 한 공부방에서 열린 '서울런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4.8/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8일 서울 금천구의 한 공부방에서 열린 '서울런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4.8/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8일 국무회의에서 대통령 선거일을 6월 3일로 확정하고, 이날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국민의힘은 9일 선거관리위원회 첫 회의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경선 체제에 돌입한다.

金 "국태민안" 韓 "보수 화합" 吳 "약자 동행" 洪 "이재명과 양자택일"

이미 출마 선언도 잇따르고 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장관직을 내려놓고 "국태민안(國泰民安·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하다)을 위해 저도 함께 하겠다"고 출마 의지를 밝혔다. 안철수 의원도 광화문 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경제와 일상을 복구하는 '시대교체'가 필요하다"며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본문 이미지 -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25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천안함 46용사 묘역에서 참배를 마치고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5.3.25/뉴스1 ⓒ News1 김기태 기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25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천안함 46용사 묘역에서 참배를 마치고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5.3.25/뉴스1 ⓒ News1 김기태 기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도 10일 국회에서 출정식을 갖는다. 그는 탄핵 과정에서 분열된 보수 지지층을 향해 화합의 메시지를 낼 예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 이날 간담회 후 "(출마 선언까지) 오래 걸리진 않을 것"이라며 "실용적이고 약자와 동행하는 정신으로 임하겠다"고 말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11일 시장직을 사퇴한 뒤 14일 출정식을 연다. 그는 이날 페이스북에 "이번 대선에서는 상투적인 정권교체, 정권연장이 아닌 이재명 정권, 홍준표 정권 양자 택일을 국민들에게 묻겠다"고 썼다.

본문 이미지 - 홍준표 대구시장이 19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한국 정치의 미래를 묻다'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2025.3.19/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홍준표 대구시장이 19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한국 정치의 미래를 묻다'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2025.3.19/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이 밖에도 김태흠 충남도지사, 나경원 의원, 유승민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최재형 전 의원 등 전·현직 장관과 중진, 현역 지자체장이 잠룡으로 거론된다. 본인의 의사와 별개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차출설도 꾸준히 거론된다. (가나다순)

난상 토론 겅선으로 흥행 전략…희망은 '반이재명 정서'

여권에서는 경선 기간이 짧아 비용 부담이 적고 인지도를 높일 기회라는 점에서 출마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민의힘은 1·2차 예비 경선(컷오프) 사이사이 난상 토론을 치르는 방식으로 흥행몰이에 나설 계획이다. 다자토론과 1대1 토론을 연달아 개최하고 최종 후보 2명이 결선에 오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토론은 생중계와 쇼트폼 영상으로 제작해 온라인에서 적극적으로 확산시킬 방침이다.

다만 경선 흥행과 별개로 여권 내부에선 위기감이 깊다. "누가 나가도 이기기 어렵다"는 체념 섞인 목소리와 함께, "이제 이재명 대통령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자조까지 나온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출마 대부분이 당권·입지용으로 보인다"며 "당내에는 절박함보다 무기력이 더 크다"고 했다.

본문 이미지 -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angela0204@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