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장 놀이" "개나 줘라"…친명의 험한 입 '이재명의 리스크'

민주당 의원들, 우원식 공격 "국회의장 놀이 중단하라" "입 닥쳐라"
일각서 "생각 다르면 어떻게 의견 표하나" "대선 도움 안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초선 당선자 워크숍에 참석하며 양문석 의원과 인사를 하고 있다. 2024.5.16/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초선 당선자 워크숍에 참석하며 양문석 의원과 인사를 하고 있다. 2024.5.16/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서울=뉴스1) 임윤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조기 권력구조 개편에 반대입장을 보인 뒤 친명(이재명)계를 중심으로 우원식 국회의장을 직격하는 등 거친 언행이 나오고 있다. 당 일각에선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적전분열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우원식 국회의장은 지난 6일 이번 대통령 선거일에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를 동시에 시행하자고 제안했다. 우 의장은 다음 날에도 입장문을 내고 "개헌은 제 정당 간 합의하는 만큼 하면 된다"며 "국민투표법 개정부터 서두르자"고 했다.

우 의장 제안에 민주당은 난색을 표하며 사실상 거절한 상태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전 여사에 대한 수사 등 "내란 종식이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표도 전날 "지금은 내란 극복이 훨씬 중요하다"고 선을 그었다.

당 내부에선 민주당 출신 우 의장을 향해 공개적인 비판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정청래 의원은 페이스북에 "우 의장에 충언한다. 국회의장 놀이 중단하시고 더이상 개헌 주장으로 국민들의 분노를 사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다.

강득구 의원은 "정말 뜬금없이 개헌을 주장했다는 소식을 듣는 순간, 계엄 못지 않은 충격이었다"며 "국회 수장으로서의 말씀이신지, 개인 입장에서의 말씀이신지는 모르겠지만 매우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했다. 양문석 의원 역시 "개헌? 개나 줘라. 제발 그 입을 닥쳐라"라고 했다.

이에 곽현 국회의장 정무수석비서관은 "태도가 리더십이다. 예의들은 좀 지키라"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재명 대표 팬 커뮤니티인 '재명이네 마을'에서도 우 의장을 비난하는 글들이 올라왔다. "우원식 개헌에 내란세력이 있는 것 같다", "대국민 사과하고 사퇴하라", "내란수괴 보내니 개헌수괴가 나온다" 등의 내용이었다.

본문 이미지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법에서 열린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의혹 1심 속행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2025.4.8/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법에서 열린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의혹 1심 속행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2025.4.8/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당에선 대체로 개헌 자체에 대한 공감대가 있더라도 국민적 숙의와 합의가 부족한 상황에서 추진 시점을 앞당기는 것은 부담스럽다는 의견이 다수다. 하지만 이를 막말, 비아냥 등으로 비난하는 것은 도를 넘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민주당 재선 의원은 "(우 의장이 주장하는) 대선·개헌 동시투표에 찬성하는 입장은 아니지만, 원색적인 발언들은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우리 당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이렇게 비난이 거세면 생각이 다른 의원들은 어떻게 목소리를 낼 수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한 중진 의원 역시 "우 의장이 후보 시절부터 개헌을 공약으로 걸고 오래 준비해 왔는데 자기 정치만 한다고 폄훼당하는 것 같다"며 "탄핵으로 제왕적 대통령제에 대한 문제의식이 커진 상황에서 개헌 논의를 계속 미루는 건 적절치 않다"고 했다.

immune@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