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한재준 서상혁 임윤지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파면으로 여야의 극한 대립이 소강 상태에 접어들면서 국회가 추가경정예산(추경)안 등 민생 현안 논의에 물꼬를 틀 거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정치권의 시계가 조기 대선에 맞춰 돌아갈 가능성이 크지만 산불 피해 복구 등을 위한 추경안 처리가 시급한 만큼 여야 정치권이 머리를 맞댈 것으로 보인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조기 대선일이 확정된 이후 추경안 등을 논의하기 위한 여·야·정 국정협의회가 가동될 것으로 전망된다.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직전까지 여야는 '탄핵 인용' , '탄핵 기각·각하'를 주장하며 극한 대치를 이어왔다. 민생 현안 논의도 공전을 거듭했다.
하지만 선고 이후 정쟁이 수그러들면서 자연스럽게 민생 현안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전날(4일) 헌재의 선고 직후 대국민 담화를 통해 신속한 추가경정예산(추경)과 당면 과제를 빈틈없이 챙기는 일이 중요하다. 그래야 새로 출범할 정부가 빠르게 연착륙 할 수 있다"며 "정부와 정당, 국회가 함께 책임감과 경각심을 갖고 현안을 지혜롭게 풀어가도록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우 의장은 국정협의회 가동을 주문한 상태다. 정부가 10조 원 규모의 추경안 추진을 발표한 만큼 여야정이 신속하게 협의해 4월 내 처리하자는 것이다.
다만 윤 대통령 파면으로 여야 지도부 개편이 불가피한 만큼 국정협의회 가동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유력 대권주자인 이재명 대표의 대표직 사퇴 이후 대행 체제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고, 국민의힘도 지도부 거취를 놓고 토론이 한창이기 때문이다.
의장실 관계자는 뉴스1과 통화에서 "국정협의회를 하게 된다면 협상 당사자부터 다시 정해야 한다"며 "선거일자가 잡히기 전까지는 재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국정협의회가 가동된다면 추경 논의도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여야 모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만큼 구체적인 추경 사업과 관련한 대화가 오갈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은 추경에 골목상권 지원 예산 등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산불 추경을 비롯해 야당과 논의할 수 있다"며 "4월 임시국회에서 비쟁점 법안도 상임위 차원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hanantwa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