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이재명 안은나 이동해 김민지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에 따른 조기 대선 정국 대응에 발 빠르게 착수했다. 탄핵소추안 인용을 확신하면서도 '데드록(교착상태)' 관측까지 나오자 내부적으로 동요도 적지 않았지만 4일 헌법재판소 선고로 여유를 되찾는 모습이다.
이재명 대표는 첫 일성으로 '정치권 성찰'과 함께 '통합'을 강조하며 수권정당 이미지 구축에 나섰다. 민주당은 최상목 경제부총리 탄핵안 표결을 미룰 가능성도 내비치고 있다.
이 대표는 이날 헌재의 윤 대통령 파면 선고 후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위대한 국민이 위대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되찾아 줬다"고 환영 입장을 밝혔다.
이 대표는 "현직 대통령이 두 번째로 탄핵당한 것은 다시는 없어야 할 대한민국 헌정사의 비극"이라며 "저 자신을 포함한 정치권 모두가 깊이 성찰하고 책임을 통감해야 할 일"이라고 자세를 낮췄다.
특히 그가 "국민과 함께 대통합의 정신으로 무너진 민생, 평화, 경제, 민주주의를 회복시키겠다"며 '통합'을 포함한 메시지를 내놓은 점이 눈길을 끈다.
앞서 국민의힘은 헌재 선고에 대한 승복 입장을 사전에 밝히면서 이 대표에게도 '승복 선언'을 압박해 왔다. 그러나 이 대표는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이라고 일축하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국민의힘은 이를 빌미로 이 대표와 민주당을 향한 대대적 '불복' 공세에 나섰다. 예측불허 헌재 선고 결과와 맞물린 불안감 속에 탄핵안 기각 시 극심한 정치·사회 분열상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이런 가운데 헌재가 만장일치로 윤 대통령 탄핵안을 인용하자 이 대표는 곧바로 정치권 자성론과 대통합을 강조, 발 빠르게 차기 대선주자 이미지 굳히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큰 고비를 넘긴 민주당 내부에서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재탄핵은 물론, 최상목 부총리 탄핵안 표결도 급할 게 없다는 기류가 힘을 얻고 있다. 조기 대선이 확정된 상황에서 굳이 줄 탄핵 역풍을 자초해선 안 된다는 공감대가 확산하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의원총회에서 윤 대통령 파면 결정 및 조기 대선 정국 논의와 더불어 최 부총리 탄핵안 표결 여부 및 그 시점과 관련한 입장도 정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 부총리 탄핵의 경우 당위성 차원의 공감대가 커 시점의 문제일 뿐 강행할 것이란 관측이 적지 않다.







2expulsio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