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35% 민주 33%' 계엄 후 첫 역전…이재명 30% 붕괴 [NBS]

국힘 3%p↑·민주 3%p↓…조국혁신 8%·개혁신당 3% 순
이재명 28%-김문수 13%…정권 교체 48%·재창출 41%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한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정당지지도를 살펴보면 더불어민주당은 33%, 국민의힘은 35%로 집계됐으며, 조국혁신당은 8%로 나타났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한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정당지지도를 살펴보면 더불어민주당은 33%, 국민의힘은 35%로 집계됐으며, 조국혁신당은 8%로 나타났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조현기 기자 = 12·3 비상계엄 후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정당 지지도에서 줄곧 앞섰지만 최근 두 당의 정당지지도가 역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차기 대통령 적합도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지지세는 약해진 반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다른 후보들을 제치고 여권 1위로 올라섰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는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6일 밝혔다.

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이 민주당에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2월3일 비상계엄 후 12월 3주 조사에서 양당의 지지도 격차는 13%포인트(p)차까지 벌어졌었다. 1월 2주차 조사에서는 양당의 지지도 격차가 4%p까지 좁혀졌었다. 그리고 이번 주 조사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을 2%p 앞서 역전된 결과가 나왔다.

1월 3주차 조사에서 정당지지율은 △국민의힘 35% △민주당 33% △조국혁신당 8% △개혁신당 3% △진보당 1% △태도 유보 17% 순으로 나타났다.

직전 조사인 지난해 1월 2주차 조사에서는 △민주당 36% △국민의힘 32% △조국혁신당 7% △개혁신당 3% △진보당 1% △태도 유보 19% 순이었다.

또 정당 기준 대선 후보 지지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36%로 국민의힘 후보(33%)를 3%p차로 앞섰다. 뒤이어 조국혁신당·개혁신당 각각 2%였다. 태도유보(없음·모름/무응답) 비율이 23%에 달했다.

대선 인식에서는 정권 교체가 48%로 정권 재창출(41%) 보다 7%p 더 높았다.

'차기 대통령감으로 가장 적합한 인물'을 묻는 질문에는 '이재명'이라는 대답이 28%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김문수(13%) △홍준표(8%) △오세훈(6%) △한동훈(5%) △우원식(3%) 순이었다. '없다' 및 '모름·무응답' 등 태도를 유보한 답변은 26%였다.

직전 조사인 지난해 1월 2주차 조사에서는 '이재명'이라는 응답이 31%로 집계됐다. 뒤이어 △오세훈(7%) △홍준표(7%) △한동훈(5%) △안철수(4%) △우원식(3%) 등이 뒤를 이었다. '없다' 및 '모름·무응답' 등 태도를 유보한 답변은 32%였다. 1월2주차 조사에서는 김문수 장관은 조사 대상이 아니었다.

대선후보 호감도 조사에서는 △이재명(37%) △오세훈(28%) △한동훈(24%) △홍준표(24%) △안철수(19%) 순이었다.

한편 NBS 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로 이뤄졌다. 응답률은 19.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chohk@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