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국민 2명 중 1명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최근의 국제 정세가 한반도 통일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가 발간한 2025년 1분기 '통일 여론·동향'에 따르면 '최근 국제 정세의 변화가 한반도 통일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라는 질문에 '매우 부정적'(23.6%), '다소 부정적'(28.2%) 등 부정적 반응이 52.1%로 집계됐다.
반면 '매우 긍정적'(6.4%), '대체로 긍정적'(12.6%) 등 긍정적 반응은 19%에 그쳤다. 그 외 '별 영향이 없다'(23.6%), '모름·무응답'(5.3%)의 답변도 나왔다.
또 우크라이나에 있는 북한군 포로의 한국행 의사가 확인될 경우 한국으로 송환돼야 한다는 정부의 입장에 '공감한다'는 답변은 68.8%, '비공감한다'는 답변은 28.7%로 조사됐다. 성별이나 연령·지역·이념에 관계없이 '공감한다'는 비율이 우세했다.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67.9%로 직전 분기보다 2.3%포인트 소폭 상승했다. 통일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전쟁 위협 해소'(29.4%)와 '경제 발전'(28.7%)을 가장 많이 꼽았다.

현재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통일·대북정책 과제는 '남북대화 재개 및 교류 협력 강화'(35.5%), '대북 제재·억제 등 안보태세 강화'(30.8%), '북한 비핵화 등 북핵 문제 해결'(16.4%), '국민 통일의식 함양 및 통일 공감대 확산'(12.0%) 순으로 나타났다.
통일 공감대 확산을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은 '대국민 의견 수렴 및 소통 강화'(33.2%)가 꼽혔으며, '정부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대국민 홍보 강화'(16.3%), '초당적 협력 강화'(14.9%), '북한 및 북핵 문제 정보 확산 강화'(12.6%) 등의 답변도 나왔다.
청년세대의 통일 공감대 확산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학교 통일교육 시간 확대'(22.9%), '유튜브·SNS 등 관련 콘텐츠 보급 확대'(22.3%), '통일 관련 정책 참여 통로 확대'(21.9%), '참여형·체험형 통일 활동 프로그램 확대'(17.6%) 등 선호도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21~23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허용 표본오차는 ±3.1%포인트다.
somangchoi@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