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추진잠수함' 건조 현장 전격 공개한 북한…러 기술 이전 가능성

"핵동력전략유도탄잠수함 건조" 주장…이전보다 '압도적' 크기
한미훈련 겨냥 해군 핵무장화 과시…러 지원으로 상당 진척 추측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이 공개한 '핵동력전략유도탄잠수함' 건조 현자아.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이 공개한 '핵동력전략유도탄잠수함' 건조 현자아.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서울=뉴스1) 양은하 기자 = 북한이 핵추진잠수함을 건조하고 있다면서 실체를 일부 공개했다. 러시아 파병으로 더욱 밀접해진 북러간 군사협력의 대가로 북한이 해군력 핵무장화에 진전을 이룬 것으로 분석된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8일 김정은 총비서가 중요 조선소들의 함선 건조사업을 현지에서 지도했다면서 "당 제8차 대회 결정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 핵동력전략유도탄잠수함 건조 실태도 현지에서 료해(파악)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이 '핵동력전략유도탄잠수함'이란 명칭을 사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략 유도탄'이란 용어를 쓴 것으로 미뤄 핵탄두를 탑재한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핵동력 추진 잠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핵추진잠수함은 북한이 지난 2021년 8차 당대회에서 제시한 국방력 발전 5대 과업 중 하나다. 그러나 5개년 계획 추진 마지막 해인 올해까지 건조 중이라는 북한의 주장만 있었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실체가 일부 공개됐다.

북한은 8차 당대회 당시 "핵잠수함 설계 연구가 끝나 최종 심사 단계에 있다"라고 핵잠수함 개발 계획을 밝혔으나 이후 사업 진척 여부는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3년여가 지난 2023년 9월 '첫 전술핵공격잠수함'이라며 '김군옥영웅함'을 공개했지만 이는 핵미사일 발사가 가능한 잠수함이라는 의미로, 추진 동력은 원자력이 아니었다.

당시 김 총비서는 "잠수함에서는 어떤 무장을 탑재하는가가 제일 중요한 기본으로 되며 핵무기를 장비하면 그것이 곧 핵잠수함이라는 것이 나의 견해"라고 말했다. 원자력 동력이 아니더라도 핵미사일 탑재가 가능하면 곧 '핵잠수함'이라는 주장인데 이 때문에 북한이 핵잠수함 개발사업을 중단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다 지난해 1월 잠수함 발사용(SLCM)으로 개발된 순항미사일 '불화살-3-31형' 첫 시험발사 보도에서 김 총비서가 현지에서 "핵동력잠수함과 기타 신형 함선 건조사업과 관련한 문제들을 협의"했다며 핵추진잠수함 개발 관련 보다 진전된 언급을 내놨다.

이후 불과 1년여 만에 건조 중인 핵추진잠수함의 일부를 전격 공개하면서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관련 기술 지원을 받은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핵추진잠수함은 미국, 중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인도 등 6개국만 보유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말과 올해 두차례에 걸쳐 북한군이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에 파병되면서 그에 대한 대가로 군사 기술 지원이 이뤄졌을 것이란 추측이 나오고 있다.

북한은 이날 건조 중인 수상함도 공개했는데, 러시아의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된다. 크기는 3000~4000톤급으로 이 역시 기존 북한의 압록급 호위함(1500t)보다 큰 규모다.

본문 이미지 -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의 첫 전술핵공격잠수함인 '김군옥영웅'[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의 첫 전술핵공격잠수함인 '김군옥영웅'[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북한이 공개한 핵추진잠수함 사진을 보면 잠수함 건조 받침 트레일 크기가 높고 수가 많아 육안으로 봐도 그간 북한이 공개한 잠수함에 비해 외형이 압도적으로 커 보인다.

다만 이번 사진에선 지상에 거치된 잠수함 동체의 일부분만 공개돼 실제 핵추진잠수함이 맞는지, 건조 과정이 어느 정도 진척이 됐는지 등은 현재로선 구체적인 분석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북한이 해군력 핵무장화 성과를 과시하기 위해 초기 혹은 중간단계의 잠수함을 성급하게 공개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핵추진잠수함은 건조와 진수를 거쳐 실전 투입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통상 완전히 인수되기 전까지는 공개하지 않는다"면서 "완성도와 상관없이 한미에 대응할 무기를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급하게 보여준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김여정 당 부부장은 미국 핵항공모함 칼빈슨함의 한반도 전개를 겨냥해 "전략적 수준의 위혁적 행동을 증대시키는 선택안을 심중하게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 한미 연합훈련을 앞두고 대응 차원에서 이를 전격 공개했다는 것이다.

다만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어떤 지원을 받느냐에 따라 핵추진잠수함 건조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홍 연구위원은 "러시아로부터 원자로를 그대로 가져오고 북한은 외관만 만드는지, 아니면 외관까지 지원을 받는지 등에 따라 시간이 훨씬 단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yeh25@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