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양은하 임윤지 기자 =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직후 "싹 다 정리하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전화 통화 지시를 받고 급한 간첩단 사건이 발생한 줄 알았다고 22일 밝혔다.
홍 전 차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1차 청문회에 출석해 계엄 선포 전후 상황에 대해 이같이 주장했다.
홍 전 차장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계엄 당일 오후 8시 22분 홍 전 차장에게 전화로 '한두 시간 후에 중요하게 전달할 사항이 있으니 대기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홍 전 차장은 국정원 청사 집무실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10시 23분에 TV를 통해 비상계엄 소식을 접했다고 한다.
그는 당시 상황에 대해 "굉장히 당황했다"면서 "국정원이 국가의 핵심 정보기관인데 비상 상황이라는 부분에 있어 정보 판단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어떻게 비상계엄이 발효되는가"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비상계엄 선포 이후인 10시 53분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으로부터 '이번에 다 잡아들여서 싹 다 정리해라', '국정원에 대공수사권을 줄 테니 이번에는 일단 방첩사령부를 적극 지원해라'라는 지시를 전화를 통해 받았다.
홍 전 차장은 "그때 목적어가 없어서 어느 누구를 그렇게 해야 되는지 잘 몰랐다"면서" 대통령이 이렇게 싹 다 잡아들이라고까지 말씀하시는 것을 보니 간첩단 사건을 적발했나 보다. 그래서 이렇게까지 긴급하게 진행해야 된다고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후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으로부터 체포 대상자 명단을 받아 본 순간에야 '뭐가 잘못됐구나'라는 생각을 했다고 덧붙였다.
홍 전 차장은 또 정치인 체포와 관련해 당시 조태용 국정원장에게 보고했다는 주장도 재차 내놨다.
그는 당시 오후 11시 6분여 전 사령관과 통화한 뒤 조 원장의 지시로 11시 30분에 긴급 정무직 회의가 열렸다면서 "자리에 안 계셨다면 모르겠지만 대통령에게 전화 받고, 여 전 사령관에게 전화 받고 (조 원장 옆에 앉아서) 회의를 했는데 어떻게 얘기를 안했을 수 있냐"라고 말했다.
그러나 조 원장은 관련 내용을 홍 전 차장으로부터 관련 보고를 받지 못했다고 거듭 주장했다.
조 원장은 지난해 12월 5일 홍 전 차장의 사표를 받았고 이튿날인 12월 6일 홍 전 차장이 이른바 '폭로'를 한 것을 거론하며 "정치인 체포라든지, 폭로할 것을 보고받아 (내가) 알고 있는 상황이었으면 홍 전 차장을 쉽게 교체할 수가 있겠느냐. 대통령도 그것을 다 알고 있었으면 교체를 승인하겠는가. 상식적으로, 합리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또 홍 전 차장이 지난해 12월 6일 국회 정보위원회에 나와 정보위원들에게 관련 보고를 하기 전까지는 관련 사실을 자기밖에 몰랐다고 얘기했다며 "즉 원장한테 보고하지 않았다고 본인이 확인을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yeh25@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