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35일 만에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 여파로 뭇매를 맞은 서울시가 조직 정비에 나선다. 주택실 산하 주택정책지원센터를 부동산 정책개발센터로 확대 개편해 시장 동향 분석을 강화한다.
서울시는 17일 기존 서울시 주택정책지원센터를 부동산 정책개발센터로 개편한다고 입법 예고했다.
이번 조직개편은 시행 규칙 개정 사항이라 서울시의회 통과가 없어도 된다. 공식 출범은 5월 중순쯤으로 예상된다.
부동산 정책개발센터는 △부동산 시장 안전대책 및 연구 △부동산 시장 정책 수립 시 부동산 시장 영향 분석 △부동산 금융·세제 종합 분석 및 선진화 제도 개발 업무를 맡는다.
센터는 시 도시공간본부 토지관리과에서 담당했던 부동산 시장 동향 분석, 거래 상황 조사, 부동산 동향 작성 관련 업무도 맡게 됐다.
담당 역할이 커지는 만큼, 서울시 내부 인력은 기존 16명에서 19명으로 늘어난다. 남은 임기 등을 고려해 기존 정종대 주택지원센터장(4급)이 부동산정책개발센터장을 맡고, 추후 외부 전문가도 채용해 투입할 계획이다.
서울시 주택실 주택정책과는 도시공간본부 토지관리과의 토지거래허가구역 검토·입안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도시공간본부 토지관리과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이용 실태 조사와 관리 업무를 맡는다.
서울시 관계자는 "부동산 정책 관련 검증 체계를 강화하고 체계적인 시 부동산 정책 추진을 위해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를 개정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앞서 서울시는 3월 말 강남 3구와 용산구 일대를 토지거래허가 구역으로 확대 재지정한 뒤 부동산 전담 조직의 확대 개편을 예고했다.
신선종 서울시 대변인은 당시 공식 입장을 통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해제와 같이 시민의 삶과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동산 정책 추진 시 사전 검증 체계를 강화하겠다"며 "그동안 서울시의 주택사업을 담당하는 인력들은 대부분 주택 공급에 초점을 맞춰 시장 반응 등 수요 측면을 면밀하게 살피는 데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었다"고 말했다.
woobi12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