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소방청은 과학적이고 신속한 화재조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전국 권역별 화재감정기관 확대 지정 계획을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도 소방본부 및 소방학교 등 내부 기관은 물론, 전문 화재조사 역량을 갖춘 외부 전문기관까지 포함하여 '화재감정기관 지정 확대를 위한 컨설팅'을 진행한다.
화재감정기관은 '소방의 화재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방청장이 지정한다. 화재 원인, 발화 지점, 확산 경로, 손실 규모 등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 소방청이 지정한 화재감정기관은 경기소방학교(2023년 3월 지정)와 서울소방재난본부(2024년 10월 지정) 두 곳으로,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소방청은 이를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제주권 등 5개 권역으로 나누어 각 권역에 1곳 이상의 화재감정기관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권역별 감정기관 확대 지정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이번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지정 후보 기관들의 역량 강화 및 제도 적합성 확보를 지원할 예정이다.
최근 화재 유형이 갈수록 복잡하고 대형화됨에 따라 화재의 원인과 책임 규명에 관한 분쟁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감정결과의 신뢰성과 사회적 합의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역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후보 기관의 인프라, 인력, 장비 등을 점검하고 지정 기준에 부합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지정된 기관에는 운영 초기부터 표준화된 매뉴얼이 제공되며 행정·기술 지원도 함께 이뤄진다. 소방청은 오는 2027년까지 5곳 이상의 감정기관을 추가 지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근오 소방청 119대응국장은 "화재감정기관의 권역별 확대는 전국 어디서나 전문적이고 신속한 화재 원인 감정을 가능하게 한다"며 "지역사회와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균형 잡힌 화재조사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hj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