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뉴스1) 고동명 기자 = 제주도가 추진하는 제주신항의 화물 운송 기능이 강화된다.
도는 해양수산부가 '제주신항 건설기본계획 변경'을 고시했다고 8일 밝혔다.
변경 고시에 따르면 제주시 삼도동·건입동·용담동 일대에 지어지는 제주신항은 2035년까지 총 3조 8278억원(민자 1조 3025억원 포함)이 투입된다.
2019년 고시된 기본계획과 비교하면 사업비는 물가 상승 등을 반영해 2조 8662억원에서 약 9616억원 증가했고 사업 기간은 2040년보다 5년 앞당겨졌다.
변경 고시된 기본계획의 핵심은 '여객·크루즈' 중심에서 '화물·크루즈' 기능으로 전환,부족한 화물부두 문제를 해결하고 물류기능을 강화한 것이다.
6년 전 고시된 여객부두 9선석 대신 잡화부두 3선석, 유류부두 1선석, 관리부두 1선석 등 화물부두 4선석이 들어선다.
도는 신항에 유류부두가 설치되면 인근 일도지구에 있는 SK저유소 이전을 SK측과 협의하기로 했다.
신항에는 배후부지 80만 9000㎡(내항 재개발 부지 13만 5000㎡ 포함)도 조성된다. 도는 제항의 크루즈부두 배후부지와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기존 내항 재개발 부지 13만 5000㎡를 신항만 구역으로 편입했다고 밝혔다.
크루즈부두를 15만GT급 크루즈선 3척과 22만GT급 1척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는 규모로 건설하는 내용은 기존 기본계획과 같다.
도는 올해 5월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을 신청한 뒤 2025년 하반기부터 2026년 하반기까지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29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는 "이번 고시가 제주항의 화물·여객선 혼재 문제와 대형 크루즈 수요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새로운 항만 기반시설을 조성하는 첫 단추로, 제주의 해양관광과 물류 체계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1927년 개항한 제주항은 협소한 규모와 선석 부족 문제로 여객과 해상물류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11개 부두 25개 선석은 포화상태고, 안전 문제도 지적되자 신항 개발이 대안으로 떠올랐다.
제주신항은 제주도가 2015년 개발 계획을 공식 발표한 후 2019년 정부의 '제2차 신항만 건설 기본계획(2019~2040)'에 포함됐다.
kd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