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소방 "공동주택 계절용 기기 화재 원인 1위 '에어컨'"

3년간 도내 공동주택서 3621건 화재 발생
계절용기기 579건 중 에어컨 192건 '최다'

본문 이미지 - 공동주택 에어컨 실외기 화재 자료사진.(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공동주택 에어컨 실외기 화재 자료사진.(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뉴스1) 최대호 기자 = 경기도내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겨울보다 여름철이 많고 계절용 기기 화재는 에어컨이 가장 큰 이유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최근 3년간(202년~24년) 도내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 3621건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특징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경기소방은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에어컨에 대한 사전점검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아파트와 다세대주택, 기숙사 등 공동주택 화재는 전체 주거시설 화재의 55%를 차지하며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공동주택화재의 68%(2454건)는 주방기기(808건)와 계절용 기기(579건), 배선 기구(278건) 등 전기기기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 가운데 계절용 기기에서 비롯된 화재 579건 중에선 에어컨이 192건(33.2%)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기장판·담요류가 121건(20.9%), 열선이 80건(13.8%) 순이었다.

공동주택 화재의 주요 원인은 부주의(44%·1609건)와 전기적 요인(37%· 1337건)으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여름 28%(1020건), 겨울 26%(948건), 가을 23%(832건), 봄 22%(821건) 순으로 많은 화재가 발생했다. 에어컨 화재의 85%(163건) 역시 여름철에 발생했다.

시간대별 인명피해로는 새벽 시간대에 발생하는 화재가 1000건당 24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켜 다른 시간대에 비해 2~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화재 사망자 23명 중 87%(20명)는 스프링클러 미설치 건물에서 변을 당했다.

경기소방은 이번 분석을 바탕으로 △소방시설 미설치 주택 집중 점검 △공동주택 관리자 대상 안전교육 확대 △새벽 시간대 화재 대응력 강화를 위한 초동대응 훈련 등 다각적인 대응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재병 도소방재난본부장은 "에어컨과 가스레인지처럼 익숙한 전기제품일수록 방심이 가장 큰 위험 요인이 된다"며 "도민 여러분께서는 본격적으로 여름철이 시작되기 전에 실외기 점검 등 생활 속 실천을 통해 화재를 미연에 방지해달라"고 당부했다.

sun0701@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