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뉴스1) 박대준 기자 = 경기 고양시의회가 이달 임시회에서 제1차 추경 중 161억원을 삭감한 데 대해 시가 비난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시의회가 반박 보도자료를 내는 등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31일 긴급 회견을 열어 추가경정예산을 비롯한 시의회의 예산 삭감을 정면 비판했다.
이 시장은 "시장 관심 예산이란 이유만으로 수백억 원의 민생·경제 사업이 거의 회기마다 무차별 삭감되고 있다"며 "시민을 외면하고 도시 발전을 가로막는 비상식적 결정"이라고 강한 유감을 표했다.
이번 제292회 시의회 임시회에선 시가 제출한 올해 첫 추경 중 약 161억원이 삭감됐다. 삭감 대상엔 공립수목원·공립박물관 조성, 원당역세권 발전계획, 킨텍스 지원부지 활성화, 창릉천 우수저류시설, 일산호수공원 북카페 조성 등 총 47건의 주요 사업이 포함됐다.
시에 따르면 이 가운데 상당수는 3차례 이상, 많겐 7차례나 반복적으로 삭감된 '단골 삭감 사업'이다. 그간 번번이 삭감됐던 도시기본계획·공공디자인 진흥계획 등 핵심 도시계획 사업은 이번에 가까스로 편성은 됐으나, 이 중 도시기본계획·도로 건설관리계획은 대폭 감액돼 실제 추진시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 시장은 특히 국토부 공모사업인 인공지능·IT 기반 '거점형 스마트시티 사업'을 대표 사례로 들어 시의회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 시장은 "정부가 약 400억 원 중 절반을 지원하는데도 시의회는 시 부담분조차 온전히 편성하지 않고 매번 삭감하고 있다"며 "계속되는 무분별한 예산 삭감은 고양시란 기차의 엔진을 끄는 것과 같다. 한 번 멈춘 기차는 다시 움직이기까지 2~3배의 시간이 걸린다”고 말했다.
이 시장의 이 같은 비판에 김운남 시의회 의장은 "예산 삭감이 시정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주장했으나, 의회의 역할은 시민 혈세를 책임감 있게 심사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거쳐 예산안을 심의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의장은 특히 이날 시가 배포한 관련 보도자료에 '패악질'이란 표현이 사용된 데 대해 "의회 본연의 역할 수행이 '패악질'이란 표현으로 폄하돼선 안 된다"며 "예산이 여러 차례 삭감되고 부결됐다면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시점 (시장) 본인의 성과를 부풀리기 위해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업을 밀어붙이고 있는 게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더 이상 '남 탓' 말고 자기반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맞섰다.
djpar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