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뉴스1) 김경훈 기자 = 대전조차장이 정부의 철도입체화 통합개발 1차 사업으로 선정돼 조차장 부지 38만㎡(11만평)에 청년 창업, 빅테크, 미디어 등 IT 관련 특화지구 등이 들어선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민생경제 점검회의를 열고 지역 건설경기 보완 방안에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 개발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철도 지하화 우선 추진 사업을 발표했다.
3개 우선 사업으로 대전, 부산, 안산이 선정됐다. 대전은 대전조차장 도심 내 청년 창업 IT 등 신성장 거점 조성을 위해 조차장 이전 등으로 확보된 38만㎡ 규모(1조4000억원)의 개발 사업이 선정됐으며, 올해 상반기 중 기본계획 수립 후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국토부 철도지하화통합개발기획단은 대전조차장 입체화 통합개발 사업에 대해 사업성은 다소 부족하지만 파급 효과가 큰 점, 전국에서 유일하게 인공 지반(데크화)으로 조성해 철도지하화에서 입체화로 사업 범위를 확대한 점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시는 분석했다.
대전시에서 구상하는 대전조차장 입체화 통합 개발 사업은 조자장 이전으로 가용 가능한 부지 38만㎡(약 11만평) 규모에 청년 창업지구, 빅테크, 미디어 등 IT 관련 특화지구 등을 조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대전산업단지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인프라를 활용해 대전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공간으로 재창조한다는 계획을 담았다.

국토부는 지난해 연말 사업 시행 방안을 발표하면서 우선 사업 추진을 위해 올해 하반기에 국가철도공단 내 자회사를 신설해 기본 계획 등 업무를 수행할 전담 기관으로 지정하고, 통합 계정을 통해 지역 간 교차보전이 가능해지도록 명문화했다.
여기에 기존 단일 기관이 수행하는 체계에서 벗어나 기존 공공기관 및 지자체와 협업할 수 있게 공동 사업 시행 구조를 도입할 계획으로, 철도 지하화 사업에 지자체·공기업까지 상부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했다.
국토부는 1차 사업으로 선정된 사업에 한해 지하화특별법에 따라 지하화부분(인공지반 조성데크화 포함)은 국토부에서, 철도부지 개발 사업은 지자체장이 기본 계획을 착수하게 했다.
이장우 시장은 “대전조차장 철도입체화 통합 개발로 지역 숙원사업을 해결하고, 철도로 단절된 지역을 재구조화해 대전의 신성장 동력으로 삼아 원도심의 활력 회복과 도시 균형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khoon365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