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뉴스1) 장광일 기자 = 계속되는 경기 침체에 따라 부산 기초지자체들이 '상권 자생'을 목표로 한 골목상권 살리기에 나섰다.
29일 국세청, 통계청 등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부산에서 폐업한 자영업자(법인, 개인) 수는 5만 6148명이다. 이는 전년대비 5280명이 증가한 수치다. 폐업의 이유로는 사업 부진이 53.4%로 가장 많았고 행정처분, 양도, 합병 등이 1~2%를 차지했다.
이처럼 경제 침체가 지속되자 부산 기초지자체들이 행정안전부, 중소기업벤처부, 부산시 등의 공모사업과는 별개로 자체적인 골목상권 활성화에 나섰다.
먼저 금정구는 지난해 5월 통과된 부산시 금정구 골목형 상점가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른 사업을 계획 중이다.
골목형 상점가 지원은 2000㎡ 이내 면적에 소상공인 운영 점포가 30개 이상 밀집한 구역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이곳 상점가 상인들은 골목형 상점가 지정을 신청할 수 있게 된다.
골목형 상점가 지정 상권의 상인 단체는 공동마케팅, 공동상품·디자인 등을 개발하기 위한 계획서를 구청에 제출하면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지난달부터 사업이 시작됐으나 지역에 상인단체가 구성된 상권이 비교적 적어 본격적으로는 시작되지 못했다. 다만 2개 상권이 사업 참여를 위한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부산진구의 경우 2월 10~14일 '2025년 골목상권 공동체 지원사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사업 대상은 관내 골목상권을 기반으로 영업하는 30인 이상의 소상공인 공동체다.
구는 공개모집 후 필요한 경우 심사를 거쳐 선정된 2개 공동체에 상권 활성화를 위한 홍보, 환경개선 사업, 사업비로 사용할 수 있는 예산 각 2000만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심사 항목은 △사업 계획과 이해도 △지역 적합성 △창의성 △참여도 등이다.
연제구도 사업비 1500만 원을 투입해 골목상권 공동체를 위한 자체적인 사업을 준비 중이다. 구는 '골목상권 공동체 역량강화사업' 참여 상권을 오는 3월 모집할 예정이다.
참여 대상은 상인회 조직이 있고 30개 이상 개별 업체가 있는 상권이다.
선정된 상권은 공동 마케팅 등 골목별 자체 기획 상권 활성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예산을 지원받는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시와 부산경제진흥원에서도 비슷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그러나 이들 기관의 사업은 절차가 비교적 까다롭고 골목 상권의 경우 상인회가 없는 곳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비교적 상인들과 가까운 곳에 있는 구청에서 이들의 자생을 돕고자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ilryo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