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부처·전문기관 간 협업을 활성화하고 R&D 전략적 관리체계를 확립하는 '범부처 연구관리 전문기관 혁신방안'이 제13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에서 의결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혁신방안은 연구관리 전문기관을 체계적으로 혁신해 선도형 R&D 시스템 구축을 가속화하고 연구현장을 효과적으로 지원해 우수한 연구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혁신방안은 △연구관리 전문기관 혁신 생태계 구축 △세계 최고 수준의 R&D 전략적 관리체계 확립 △R&D 관리 프로세스 개선 등 3가지 전략으로 구성됐다.
먼저 연구개발 특성에 맞는 최적의 전문기관이 부처 경계를 넘어 사업을 관리할 수 있도록 타 부처 소관 사업 수탁의 유연성을 높인다.
유사 연구분야의 중소 전문기관은 하나의 클러스터로 묶어 공동 연구기획 및 협업 분야를 발굴하는 '클러스터링'을 추진한다.
연구관리 전문기관이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혁신도전형 '앞으로(APRO) R&D 사업'에 DARPA(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형 프로그램 매니저(PM) 제도를 도입한다. 이는 총괄 관리자의 권한을 강화하는 것으로 연구사업 관리자가 연구기획·선정·성과관리의 주요 의사결정을 주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요 전문기관에 글로벌 R&D 총괄부서를 지정해 사업 추진현황 및 성과를 관리하고 연구자들에게 행정적·법률적 지원을 지속 확대한다.
선도형 R&D 관리에 핵심적 요소인 기획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기업·학회 등 대표 전문가 중심의 개방형 기획 방식을 확산해 신흥‧유망 기술을 적극 발굴한다.
연구평가 체계도 혁신된다. 평가위원 후보단을 학회 추천인, 해외 전문가 등으로 확대하고 우수 평가위원에는 정부 포상 및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연구관리 전문기관이 진정한 '퍼스트 무버형 R&D' 시스템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이루어 나갈 것"이라며 "주어진 과제를 관계부처와 함께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yjr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