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장 풀린 공공클라우드…'美우선주의' 트럼프에 韓기업 긴장

[빅테크 공공클라우드 공습]①MS 애저 공공기관 진출 현실화
AWS·구글 가세…국내기업 기술검증·래퍼런스 텃밭 잠식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손 마사요시소프트뱅크 회장(왼쪽에서 두 번째), 래리 엘리슨 오라클 창업자,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등과 함께 AI 인프라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있다. 2025.1.21 ⓒ 로이터=뉴스1 ⓒ News1 강민경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손 마사요시소프트뱅크 회장(왼쪽에서 두 번째), 래리 엘리슨 오라클 창업자,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등과 함께 AI 인프라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있다. 2025.1.21 ⓒ 로이터=뉴스1 ⓒ News1 강민경 기자

(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에도 '미국 우선주의' 기조가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29일 IT 업계에 따르면 최근 MS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제(CSAP·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 '하' 등급 인증을 획득했다. 공공기관에 애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AWS·구글 클라우드도 가세할 전망이다. 이들은 CSAP 하 등급 신청 후 현재 심사를 받고 있다. 업계는 연내 추가 인증 기업이 나올 것으로 전망한다.

이는 2022년 정부 주도로 상·중·하로 나뉜 CSAP 등급제를 도입해 해외 클라우드 기업의 시장 진입 장벽을 완화한 결과다.

정부는 CSAP를 개편하면서 하 등급에 '논리적(소프트웨어) 망분리'를 도입했다. 한국에 데이터센터(IDC) 등을 세우지 않아도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엔 '물리적(하드웨어) 망분리'만 허용했다.

한국의 CSAP제도를 미국 기업에 대한 '핵심 장벽'으로 지적한 미국 무역대표부(USTR) (USTR 보고서 갈무리)
한국의 CSAP제도를 미국 기업에 대한 '핵심 장벽'으로 지적한 미국 무역대표부(USTR) (USTR 보고서 갈무리)

미국 정부와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지속적으로 한국 정부에 공공클라우드 시장 개방을 요구해왔다. USTR은 2022년부터 '무역장벽 보고서' 등을 통해 CSAP를 '미국 기업을 겨냥한 공공조달 무역장벽'으로 규정했다.

AWS·MS 등 미국 CSP들도 CSAP 인증 요소(설비 분리 조치 등)가 사업비용을 증가시킨다며 완화·철폐를 요구했다.

결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 8월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5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CSAP 등급 개편 내용을 담은 '정보보호 규제개선 상황 및 계획'을 발표했다.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빅테크의 공공클라우드 진출 현실화에 한국 CSP사(네이버클라우드·KT클라우드·NHN클라우드 등 )들은 긴장하는 모습이다. 민간 시장의 70% 이상을 해외 기업이 차지하는 상황에서 공공 시장마저 잠식당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 부가통신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민간 기업 시장에서 AWS·MS 클라우드 이용률은 각각 60%와 24%로 1·2위를 차지하고 있다.

공공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민간 시장 대비 크지 않지만, 국내 기업이 클라우드 기술력을 검증하고 레퍼런스를 쌓는 발판 역할을 해왔다.

업계 관계자는 "공공 클라우드 시장은 국내 CSP들이 기술력을 인정받고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였다"며 "이마저 빼앗긴다면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미래가 불투명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ideaed@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