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만 개 장애인기업에도 '두 번째 기회' 필요합니다"

장기종, 나경원 의원과 '장애인기업 성장 정책토론회' 개최
"정부 지원, 창업·성장기 위주…재기 시스템 만들어야"

 김흥기 한신대 교수는 14일 서울 이룸센터에서 열린 '장애인기업, 성장과 도약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했다. ⓒ News1 이민주 기자
김흥기 한신대 교수는 14일 서울 이룸센터에서 열린 '장애인기업, 성장과 도약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했다. ⓒ News1 이민주 기자

(서울=뉴스1) 이민주 기자 = 육신에 장애가 있다고 '혁신'을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는 장애인기업에서 비장애인기업 못지 않은 혁신 동력이 창출될 가능성이 높다.

이같은 장애인기업의 혁신성장을 키우키 위해서는 일반 기업 지원과 동일하게 창업, 성장, 재창업 등 생애주기별 지원체계를 구축해 '생산적 복지'를 구현해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현재 장애인기업에 대한 지원이 창업과 성장기에 집중돼 있는데, '재창업'을 꿈꾸는 장애인기업에도 교육과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흥기 한신대 교수는 14일 서울 이룸센터에서 열린 '장애인기업, 성장과 도약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장애인기업 성장과 도약을 위한 방향'을 주제로 주제발표를 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장애인기업 수는 최근 5년간 연평균 12.8% 안정적으로 성장해 왔다. 2023년 장애인기업실태조사 기준 장애인 기업 수는 17만 4000여 개, 매출은 69조 6601억 원, 전체 종사자 수는 57만 8280명이다.

장애인기업은 지원 효율도 높은 편이다. 정부가 지난 5년간 장애인기업 지원에 투자한 예산은 579억 원이며 지난해 기준 예산(105억 원) 대비 경제 기여도(경제적 파급효과)는 858억 원으로 8.16배 수준이다.

김 교수는 "정부의 장애인기업 지원 정책은 기업의 생애주기를 고려하지 못하고 신규 기업 발굴을 위한 창업 지원 위주로 편성이 돼 있다"며 "소상공인 지원책과 비교해 보면 생애주기인 '창업기-성장기-퇴로기'에 맞춰 각각을 지원하고 있지만 장애인기업은 퇴로나 재기 관련 프로그램이 미비하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장애인 기업을 위한 △창업기 프로그램과 △성장기 프로그램은 다수 진행 중이나 퇴로·재기 프로그램은 전무하다.

김 교수는 "상시 기업 현황을 점검해 휴·폐업 지원 대상기업 데이터를 확보하고 회복탄력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야 한다"며 "온라인 재기교육, 사업화 자금 지원 등 편성해 현행 지원체계를 장애인기업의 생애주기, 특히 기업의 퇴로기를 고려한 다각적인 지원체계로 개편해야 한다"고 했다.

본문 이미지 - 장기종은 14일 서울 이룸센터에서 열린 '장애인기업, 성장과 도약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 News1 이민주 기자
장기종은 14일 서울 이룸센터에서 열린 '장애인기업, 성장과 도약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 News1 이민주 기자

중증장애인 사업주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생산적 복지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도 했다.

인적·물적 지원으로 중증장애인의 경영환경(업무지원) 지원을 확대하고 발달장애인 창업기반시설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정부는 발달장애인 창업기반시설로 가족 창업·돌봄공간인 '가치만드소'를 운영 중이다.

김 교수는 "현재 정부가 중증장애인에 대해 업무지원인 파견 등 1인 사업주 경영환경 개선 지원을 하고 있는데 서비스 제공 분야를 업무보조형, 의사소통형, 경영지도형 등으로 확대하고 지원인뿐 아니라 ICT 보조공학기기 등으로도 확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전국에 가치만드소가 8개소 설치돼 운영 중인데 (사업이) 잘 되면서 생산적 복지의 롤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며 "지자체에서의 설치 수요도 증가세다. 가치만드소를 더 늘리고 'Post-가치만드소 등등 졸업기업을 위한 지원소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인프라 개선과 관련해서는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를 '한국장애인기업진흥원'으로 명칭 변경해 장애인기업 활동 지원 전문 조직으로 탈바꿈시켜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토론자들도 △가치만드소 확충 △중증장애인 사업주를 위한 인적지원 확대 △장애인기업 창업 촉진 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함께했다.

서윤정 정앤서컨설팅 대표는 "전국에 8개 가치만드소가 있는데 입주생들이 센터에 있을 때는 그곳의 교육, 지원을 받아 (사업을) 하던 것이 졸업 후에는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더라"며 "입대사업장을 만들어 졸업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네트워크를 만들어 타 기관, 기업과 협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변민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장애인 인구 고령화 등 시대적 변화에 맞춰서 지원사업에 대한 부분도 고민을 해야 한다"며 "장애인 근로자에 대해서는 현재 출퇴근 비용 지원, 편의시설 지원 등이 이뤄지고 있지만 장애인 대표(사업주)를 위한 지원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최용석 창업진흥원 차장은 "장애인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지속 확대되고 있으나 여전히 부족하고 특정 분야를 중심으로 몰려 있는 등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장애인 사업주가 경영 마케팅 등 실무지식을 배울 수 있도록 인턴제 도입, AI 활용 맞춤형 창업지원 확대, 장애인+비장애인의 융합형 창업지원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박마루 장기종 이사장은 "장애인기업에 대한 지원은 복지가 아니라 비즈니스다. 장애인기업도 우리 국민 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토론회가 장애인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한 출발점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minju@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