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계약도 밀렸다"…'25%' 관세 폭탄에 피말리는 中企(종합)

美,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 관련 제품에 25% 관세
중기부, 긴급대응반 가동…정책자금 신속 지원 방침

알루미늄 제품제조기업 지제이알미늄의 생산 시설.(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알루미늄 제품제조기업 지제이알미늄의 생산 시설.(중소기업중앙회 제공)

(화성=뉴스1) 김형준 기자

"미국 수출 계약을 체결하려던 고객사가 25% 관세 부과 소식에 상황을 좀 지켜보자고 하더군요. 미국 수출분 생산을 위해서 제2공장 증설도 추진 중이었는데 참 난감합니다."

알루미늄 제품 제조기업 지제이알미늄은 최근 미국 수출에 제동이 걸렸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 상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다.

연 매출 804억 원 중 수출이 100억 원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며 수출액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공장 설립을 위한 설비 투자 비용도 걱정거리다.

지제이알미늄을 비롯한 철강·알루미늄 제조 중소기업들은 관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발빠른 협상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에 중소벤처기업부는 긴급대응반을 꾸려 피해 현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긴급경영안정자금을 투입하는 등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본문 이미지 -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철강·알루미늄 제조 중소기업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철강·알루미늄 제조 중소기업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중소기업중앙회 제공)

무관세로 가격 경쟁력 챙겼는데…"발빠른 대처 시급"

11일 중기부는 경기 화성시 지제이알미늄 본사에서 철강·알루미늄 제조업체들과 간담회를 열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 2월 1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수입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 대상 관세 포고문에 서명했다. 이날은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 상품에 2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되는 첫날이었다.

국내 철강·알루미늄 중소기업들은 그동안 미국으로부터 무관세 쿼터제를 적용받아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해 왔지만 25%의 관세를 부담하게 되면서 수출이 줄어들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볼트와 너트 등을 제조하는 신진화스너공업의 정한성 대표는 "우리의 경쟁국인 대만, 베트남, 중국은 기존에 부과하던 관세를 그대로 적용받기 때문에 고객들의 생각이 바뀔까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상황을 전했다.

업계는 정부 차원에서 빠르게 미국과의 협상을 추진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속 기반의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하는 광스틸의 곽인학 대표는 "금속 제품의 경우 원자재와 관세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관세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조기 협상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본문 이미지 -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이 철강·알루미늄 제조 중소기업들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이 철강·알루미늄 제조 중소기업들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중기부, 긴급대응반 가동…"정책금융 신속 지원"

관세로 인한 기업들의 피해가 현실화하면서 중기부는 '美 관세 대응 긴급대응반'을 꾸려 신속한 대응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긴급대응반장은 중소기업정책실장이 맡는다. 전국 15개 애로신고센터와 자금지원팀, 정보제공팀, 수출지원팀 등 4개 팀으로 나눠 기업들을 지원할 예정이다.

오는 5월 진행하는 수출바우처 사업 2차 공고에서는 관세 조치 피해 기업에 대한 별도의 지원 물량도 배정할 계획이다.

관세 조치로 자금 애로를 겪는 기업에는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경영 애로 사유에 '보호무역 피해'를 추가해 경영 정상화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신속한 지원을 위해 정책자금 신청 절차도 줄이기로 했다. 관세로 인한 피해기업의 경우 패스트트랙 평가를 적용하고 제출 서류도 간소화한다.

또 중소기업중앙회와 협업해 철강·알루미늄 제품 수출 기업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지원책을 검토할 예정이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2024년 철강·알루미늄 중소기업의 수출이 2023년 대비 8% 늘었다"며 "이처럼 우수성을 가진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힘들지 않게 (상황을) 넘어갈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가용한 수단을 적기에 사용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jun@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