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민주 기자 = 폐업한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1만 7000여 개가 이달 일괄 등록 말소된다. 그중에는 폐업한 지 수 년 된 가맹점도 있지만 뒤늦게 사실이 확인돼 이제야 등록이 말소되는 곳도 적지 않다.
정부가 올해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온누리상품권을 역대 최대 규모로 발행하겠다고 나선 가운데 사용처가 대거 말소 처리되면서 업계에서는 이용자들의 편의성 저하를 우려하는 분위기다.
6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온누리상품권 가맹등록 말소 처리 예정인 가맹점 수는 전국적으로 1만 6988개다.
지역별로 서울이 3252개(19.14%)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경기 2626개(15.45%) △부산 1453(8.5%) △경남 1176개(6.9%) 등이 따랐다. 대구(1137개), 경북(1119개), 인천(1089개) 지역에서도 1000개 이상의 가맹점이 이탈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온누리상품권 사용 가능 가맹점 수는 19만 8901개다. 이를 기준으로 말소된 가맹점 비율은 전체의 8.54%에 달한다.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은 폐업 시 관련 규정에 따라 관리 주체(지자체나 중기부)가 이를 사실을 공지하고 20일 뒤에 가맹등록 말소된다.
그간은 지자체에서 폐업 사실이 확인되는 대로 단일 건이나 수 건을 묶어 공지하는 식으로 개별 가맹점의 등록을 말소해 왔다.
그러나 올해 중기부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함께 처음으로 '온누리상품권 유통 실태 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폐업 가맹점이 무더기로 확인되며 관련 내용을 한 번에 공지하게 됐다.
이달 등록 말소되는 가맹점 수는 지난해 신규 유입된 가맹점보다도 많은 수준이다. 지난해 1~8월 기준 신규 가맹점 수는 9129개다.
중기부는 폐업으로 인해 이들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의 등록이 말소됐다고 설명하며 향후 3년마다 관련 내용을 확인해 공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지난달 처음 시작한 '온누리상품권 유통 실태 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말소가) 확인된 부분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정리를 한 것"이라며 "(가맹점이) 폐업하면 공지하고 말소하게 되게끔 (절차가) 돼 있다. 다음 조사 때는 이번만큼 (폐업 가맹이) 많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법'에 따라 전통시장 및 상점가, 상권 활성화 구역의 보호 및 활성화를 위해 2009년부터 발행하기 시작한 유가증권이다. 종류는 지류, 전자(카드형), 모바일로 구분된다.
정부는 올해 물가 부담을 덜고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온누리상품권을 역대 최대 규모인 5조 5000억 원어치 발행할 예정이다. 온누리상품권 발행액은 2020년 2조 5000억원에서 올해 5조 5000억원으로 5년 새 2배 이상 늘었다.
이 가운데 등록 말소로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이 줄어들자 업계와 소비자들은 사용 제약과 불편 증가를 우려하고 있다.
당초 정부는 올해 온누리 상품권 발행 규모를 늘리면서 사용처도 함께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추진 중이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지난해 정책 방향 브리핑에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을 25만 개까지 늘리고, 골목형 상점가 지정 요건을 자율화하고 가맹 제한 등을 해제해 사용을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 침체를 해결하려고 온누리상품권 발행 규모를 늘리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이를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이 줄어드는 것은 소비자 입장에서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며 "소비 촉진을 위해서는 단순히 발행량을 늘리는 것보다 가맹점 유지 및 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중기부는 이달부터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통합 앱을 출시하고 하나의 앱에서 카드형과 모바일 상품권 중 선택해 결제가 가능하게 했다.
minju@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