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민주 기자 = 지난해 중소기업 수출액이 1151억 달러로 전년 대비 4.9% 증가하며 2021년 이후 3년 만에 성장세로 전환했다.
지난해 중소기업 수출은 2023년 4분기부터 2024년 4분기까지 5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액수로는 역대 중소기업 수출액 2위 수준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3일 '2024년 중소기업 수출동향(잠정치)'을 발표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중소기업 수출액 증감율은 지난해 1분기 +3.3%, 2분기 +4.7%. 3분기 +5.6%, 4분기 +5.9%로 연속 증가했다.
지난해 수출 중소기업 수는 9만 5905개사로 전년(9만 4463개사) 대비 1.5% 증가했으며, 신규 수출기업 수는 2만 5000개사로 전년(2만 4825개사) 대비 0.7% 늘었다.
같은 기간 수출 지속기업은 7만 905개사로 전년(6만 9638개사) 대비 1.8% 증가했다.
중소기업 상위 수출품목은 화장품(68억 달러), 자동차부품(51억 달러), 플라스틱제품(50억 달러) 등이다. 중소기업 전체 수출액 중 상위 10대 품목 집중도는 34.1%로 총 수출 10대 품목 집중도(59.1%) 대비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수출액 상위 10대 품목 중 기타기계류와 기계요소를 제외한 8개 품목의 수출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그 중에서도 화장품(27.7%)과 반도체제조용장비(15.5%) 수출은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주요 수출 증가 품목의 증가요인을 분석하면 화장품은 중국(10.7억 달러, -4.7%) 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국(13.4억 달러, 46.5%), 일본(7.5억 달러, 29.4%), 베트남(4.5억 달러, 17.0%) 등 다양한 국가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연 기준 역대 최대실적을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수출 단일 품목으로는 최초로 60억 달러를 돌파했다.
반도체제조용장비는 글로벌 반도체 경기 회복과 해당 품목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자국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에 따른 수요 증가로 인해 중국(16.9억 달러, 18.9%), 대만(5.2억 달러, 55.0%), 미국(5.1억 달러, 42.2%), 네덜란드(5.0억 달러, 30.5%) 등 상위 교역국에서 두 자릿수 증가율을 나타내면서 연 기준 최고 수출액을 기록했다.
자동차 수출은 키르기스스탄(15.4억 달러, +55.8%), 카자흐스탄(3.9억 달러, +8.5%) 등 러시아 주변국에서의 품질인지도가 상승되면서 6개월 연속 수출 호조세가 이어졌다. 연 기준으로는 4년 연속 증가세, 역대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중소기업 수출액 상위권 국가로는 △미국(187.4억 달러, +11.2%) △중국(183.9억 달러, △1.3%) △베트남(109.9억 달러, +6.8%) △일본(96.9억 달러, △1.9%) △홍콩(40.3억 달러, +43.8%) 순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상위 10개국 중 7개국에서 수출액이 증가했다.
지난해 미국에서는 대미 수출 상위 10대 품목 모두 수출이 증가하며 전체 수출국 중 가장 많은 수출액 증가(18.8억달러)를 기록했다.
수출 증가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홍콩이며 패션잡화(9.3억 달러, +426.2%), 금은및백금(4.0억 달러, +356.4%)이 성장세를 이끌었다.
대만에서는 글로벌 반도체 생산기지로 다국적 기업의 투자가 증가하면서 반도체제조용장비(5.2억 달러, 55.0%) 수요도 함께 확대되어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러시아(27.1억 달러, -11.3%)는 對러시아 수출 통제 품목 확대에 따라 대부분 품목이 수출 감소세를 보였다.
상위 10대 국가 외에도 중동(58.1억 달러, +3.2%), 중남미(52.0억 달러+4.6%)에서의 중소기업 수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액은 10억 1000만 달러로 전년(7억 6000만 달러) 대비 32.3% 증가하면서 첫 10억달러 선을 돌파했다. 국내 온라인 총 수출액 중 중소기업 수출액 비중은 73.2%다.
온라인 수출 주요 품목으로는 화장품(54억 5800만 달러, +71.0%)과 컴퓨터(8억 2400만 달러, +50.2%)의 대미 수출이 확대되면서 큰 증가세를 보였다.
온라인 수출 중소기업의 수는 3835개사로 전년(4,116개사)대비 6.8% 감소했다.
최원영 중소벤처기업부 최원영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최근 고금리, 고물가 등 어려운 대외환경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 수출은 선방했지만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고환율 상황 지속 등 중소기업을 둘러싼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계속해서 커지는 중”이라며"대외환경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중소기업의 애로를 신속히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해나가겠다"고 했다.
minju@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