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최동현 기자 = 미국발(發) 관세 폭탄 우려로 메모리 비축 수요가 증가하면서 올 2분기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이 최대 8%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7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범용(레거시) D램 계약 가격이 올해 1분기에 전 분기 대비 8~13% 하락했으나, 2분기에는 3~8%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고대역폭메모리(HMB) 가격도 1분기에는 전분기 대비 0~5% 하락했으나, 2분기에는 3~8%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낸드 가격도 1분기에는 전분기 대비 15~20% 내렸으나, 2분기에는 3~8%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메모리 가격이 일제히 상승한 이유는 미국의 '관세 불확실성'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뺀 모든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하면서 메모리 재고를 선제적으로 비축하려는 움직임이 많아졌고, 시장 가격도 높아졌다는 것이다.
다만 트렌드포스는 메모리 비축 수요에 따른 가격 상승이 단기적 현상에 그칠 수 있으며, 관세에 민감한 수요가 올해 상반기에 몰려 이후 계절적 추세를 방해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에이브릴 우 트렌드포스 수석 리서치 부사장은 "메모리 구매자와 공급자 모두 관세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해 유예 기간 내 거래와 출하를 서두르고 있다"며 "2분기 메모리 시장의 활동이 눈에 띄게 회복될 것"이라고 했다.
dongchoi89@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