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명신 기자 = 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일부 협력사와 납품 지연·축소 원인을 두고 첨예한 입장차를 드러내면서 전체 협력사로 갈등이 확산할지 우려되고 있다.
홈플러스 측은 '대기업 협력사의 납품 중단으로 2차협력사 피해가 우려된다'는 입장을 낸 가운데 정작 1차, 2차 협력사들은 '파트너사의 운영 정상화에 정작 피해를 주고 있는 곳은 홈플러스'라고 맞서고 있다.
특히 업계에서는 납품 중단과 물량 축소 등은 홈플러스의 유동성 리스크 때문으로, 피해 전가 프레임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와 서울우유 등 일부 협력사 간 납품 협의가 난항을 겪으면서 중단 사태가 장기전으로 치닫고 있다. 특히 납품 재개를 두고 '책임 소지'를 둘러싼 입장차로 맞서면서 업계 전반으로 우려의 시각이 나오고 있다.
홈플러스 측은 "업계에서 주도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는 서울우유 등 대기업 협력사가 회생채권 전액 즉각 변제, 물품 대금 현금 선납 조건 요구 등을 들어주지 않자 상품 공급을 중단하거나 거래 규모를 축소했다"고 지적했다.
대기업과 이해단체들이 자신의 몫만 우선 챙기려 무리한 요구를 하고, 이를 들어주지 못하자 납품을 중단하거나 물량을 줄이면서 2차협력사와 농축산 농가가 큰 피해를 보고 있다는 것이 홈플러스의 주장이다.
그러나 서울우유 등을 비롯해 한국농축산연합회는 즉각 반박했다. 한국농축산연합회 측은 "MBK파트너스 회장의 사재출연 이행 등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한 가시적 조치가 없는 상황에서 지금도 농축산업계 등 납품 조합(업체)들은 불안감 속에서 홈플러스 납품을 이어오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우유 관계자는 "회생채권 선납이 아닌 공익채권 정산 요청으로, 제조사 입장에서 2차협력사와 연계된 만큼 채권 회수는 중요하다"면서 "홈플러스의 유동성 리스크에도 납품을 이어왔지만 정산 방식에 대한 이견으로 납품을 보류하고 있는 상태로, 2차협력사 피해 전가는 어디에서 나온 말인가"라고 반문했다.

업계에서는 홈플러스 납품 중단 사태가 서울우유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시각이다. 업체마다 오는 11일, 19일, 21일, 29일 등 만기 도래일이 임박하고 있는 데다 법정관리 후 연이은 할인행사로 실제 유동성 확보 규모 등 불확실성에 따른 미정산 사태가 초래될 수 있다는 시각이다.
무엇보다 협력사들은 법정관리 전 회생채권으로 묶인 정산금 지급이 7월 이후로 미뤄지면서 유동성 리스크를 떠안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는 상거래채권마저 6월 이후 분할정산으로 묶인 상태다.
홈플러스는 공익채권 미수금을 미리 당겨주는 식으로 선지급하면서 일부 식품사들이 공급을 재개했다. 하지만 이달 만기 도래일 미정산 시 즉각적인 납품 중단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업체마다 유동성 리스크에 선지급 총액 한도 내에서 제한적인 납품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서울우유뿐만 아니라 대부분 2차협력사에 대한 정산 등 자금 순환이 돼야 하는 건 마찬가지로, 파트너사가 대금 요청하는 부분에 대해 '피해 전가 프레임'은 우려되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상생도 중요하지만 독립적인 회사마다 리스크 관리는 중요하다"면서 "서울우유만의 문제가 아닌 수면 위로 오르지 않은 협력사나 공급 물량 통제하는 업체들 역시 이번 달 미정산 시 거래 중단을 고려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버티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측은 "채권 정산은 계획대로 이뤄질 것"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이다. 현재까지 상거래채권 정산 규모에 대해서는 "확인이 어렵다"고 밝혔다.
lil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