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형진 기자 = 이제 김은 바다가 아닌 땅에서 생산한 제품이 주류가 될까. '김'이 아니라 '금'이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만큼 가격이 급등하면서 최근 식품업계는 김 육상양식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김 육상양식 개발에는 전라남도와 손잡은 CJ제일제당(097950), 전라북도는 대상(001680)·풀무원(017810), 제주도와는 동원F&B(049770)가 협업해 진행하고 있다. 식품 대기업들이 전면에 나선 상황이다.
김 육상양식은 '바이오리액터'라고 불리는 수조에서 김을 양식한다. 바다양식과 달리 질병 없이 김을 기를 수 있고, 겨울철만 생산할 수 있는 김을 1년 내내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김 육상양식 개발이 빨라지는 데에는 기후변화 문제도 있다. 김은 겨울철 고온 현상이 발생하면 기생성 질병인 '갯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과거에는 김을 5월까지 생산했지만, 지속되는 기후변화로 이제는 3월만 넘겨도 상태가 좋지 않다.
기존 작물을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크지 않도록 개발하는 방식은 기후변화 '적응' 대책의 일환이다. 기후변화 대책은 온실가스를 직접적으로 줄이는 '감축'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적응' 대책으로 나뉜다.
학계는 이미 '티핑포인트'라고 불리는 지구 평균 기온 상승 1.5도를 넘어섰다고 보고 있고, 주된 온실가스 배출국인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선 직후 파리기후변화 협약 탈퇴하는 등 온실가스 감축은 아직 요원하다.
정부는 5년 단위로 기후변화 적응 대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3차 대책(2021~2025)까지 마련했다. 농수산분야에서는 안정적 작물 생산 및 수급 안정화가 주요 대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다만 김 육상양식 외에는 정부·기업들의 다른 적응 대책은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 이미 코코아, 커피 등 이른바 '기후플레이션'으로 소비자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다.
소비자들의 건강과 지갑 사정, 나아가 식량안보를 위해선 보다 적극적인 농수산 분야 적응 대책이 필요할 때다. 기온 변화에 적응성이 우수한 품종을 개발하고, 아열대 채소류를 접목한 제품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
hji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