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올해 322만대 판매·점유율 3.7% 목표…이익률 11%로 소폭 하향

글로벌 판매 전년比 4.1% 증가…3년 연속 신기록 경신 도전
매출 112조 영업익 12.4조 목표… 신차 9종 출시로 성장 가도

기아가 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하고 투자자와 애널리스트 등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더욱 구체화된 중장기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송호성 기아 사장이 '2025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기아의 중장기 사업 전략과 재무 목표 등을 설명하고 있다. (기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4.9/뉴스1
기아가 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하고 투자자와 애널리스트 등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더욱 구체화된 중장기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송호성 기아 사장이 '2025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기아의 중장기 사업 전략과 재무 목표 등을 설명하고 있다. (기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4.9/뉴스1

(서울=뉴스1) 김성식 기자 = 기아(000270)가 올해 글로벌 시장에서 약 322만 대를 판매해 시장 점유율 3.7%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다만 영업이익률은 11.0%로 전년보다 소폭 낮춰 잡았다.

기아는 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CEO Investor Day)에서 2025년 사업 계획 및 재무 목표를 공개했다.

기아는 올해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308만 9457대) 대비 4.1% 늘어난 321만 6000대(도매 기준)를 판매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 점유율 3.7%를 달성하기로 했다.

기아가 추산한 올해 글로벌 자동차 수요는 전년 대비 0.3% 증가한 8460만 대다. 기아가 올해 판매 목표를 달성할 경우 2023년부터 3년 연속 사상 최다 판매 기록을 경신하는 것이다.

올해 재무 목표는 △매출 112조 5000억 원(전년 대비 4.7% 증가) △영업이익 12조 4000억 원(2.4% 감소) △영업이익률 11.0%(0.8%포인트 감소)를 제시했다.

기아는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 △제품력 중심 브랜드로의 성장 △상품 부가가치 개선 및 차량 가치 상승 △효율적 투자와 혼류 생산 체제를 통한 구조적 원가 우위 확보 등 3가지를 꼽았다.

올해도 이 같은 요인을 유지해 글로벌 자동차 업체 평균 수익을 상회하는 실적 성장을 이끌어가기로 했다. 특히 올해는 '시로스' '타스만' 'EV4' 'EV5' 'PV5' 등 신모델 5개와 '카렌스(카렌스 EV)' 등 1개의 상품성 개선 모델, 'EV9 GT' 'K4 5DR' 'EV4 5DR' 등 3개의 파생 모델을 선보일 계획이다.

본문 이미지 - 기아는 3일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열린 언론공개 행사에서 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올 '더 기아 PV5'를 국내 최초로 공개하고, 브랜드 첫 정통 픽업 '더 기아 타스만'의 위켄더 콘셉트 모델과 함께 기아 전용 전기차 라인업을 선보였다. 기아 송호성 사장이 '2025 서울모빌리티쇼' 언론공개 행사에서 PV5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기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4.3/뉴스1
기아는 3일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열린 언론공개 행사에서 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올 '더 기아 PV5'를 국내 최초로 공개하고, 브랜드 첫 정통 픽업 '더 기아 타스만'의 위켄더 콘셉트 모델과 함께 기아 전용 전기차 라인업을 선보였다. 기아 송호성 사장이 '2025 서울모빌리티쇼' 언론공개 행사에서 PV5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기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4.3/뉴스1

美 84.3만·유럽 55.8만·국내 55만대 순…인도 30만대·中생산 수출 늘리기로

지역별 판매 목표는 국내의 경우 55만대 판매(소매 기준), 시장 점유율 34.0% 달성으로 설정했다. 올해 EV4와 EV5를 출시해 전기차 대중화를 지속하는 한편 타스만과 PV5 출시로 각각 픽업트럭 및 목적기반차량(PBV)이란 신규 시장을 창출한다는 전략이다.

미국에선 주력 차종인 '쏘렌토'와 '텔루라이드'의 판매 경쟁력을 유지하고, '스포티지' 상품성 개선 모델을 통해 성장 모멘텀을 지속하기로 했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에 따른 현지 정책과 제도,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84만 3000대 판매, 시장 점유율 5.1%로 지금과 같은 성장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럽에선 55만 8000대를 판매하고 시장 점유율 3.7%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지난해 출시한 'EV3' 판매를 확대하고 EV4, EV5를 성공적으로 출시해 강화된 유럽연합(EU)의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하는 한편, PV5를 선보여 PBV 사업을 본격화한다.

인도는 카렌스 상품성 개선 모델과 지난 1월 출시한 시로스 등 신차를 통해 30만 대를 판매하고 6.9%의 시장 점유율을 달성하는 게 목표다. 신규 딜러 확보를 통해 딜러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서비스 역량을 제고해 고객 중심의 브랜드로 거듭날 계획이다.

중국에서는 내수 시장의 치열한 경쟁 환경을 감안해 8만 대 판매를 유지하되 중국 생산분 해외 수출은 전년 대비 7% 증가한 18만 대로 끌어 올리기로 했다. 공장 가동률 향상을 통해 수익성을 제고하는 방안이다.

본문 이미지 - 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에서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며 올해 안에 누적 판매 3천만 대를 달성할 전망이라고 24일 밝혔다. 사진은 2002년 미국 판매를 시작한 이후 지난해까지 183만대 판매된 기아 쏘렌토 모습. (현대차·기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3.24/뉴스1
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에서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며 올해 안에 누적 판매 3천만 대를 달성할 전망이라고 24일 밝혔다. 사진은 2002년 미국 판매를 시작한 이후 지난해까지 183만대 판매된 기아 쏘렌토 모습. (현대차·기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3.24/뉴스1

seongski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