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재찬 보험전문기자 =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은 극단적 선택 시도자 응급 의료비 지원 사업을 통해 2016년부터 지난 9년간 총 5371명의 극단적 선택 시도자에게 약 39억 원의 치료비를 지원했다고 23일 밝혔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 극단적 선택 시도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며, 고위험군 관리를 강화해 극단적 선택 재시도 예방과 사회 안전망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재단은 치료비 지원 이후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와 협력해 심리치료, 사회복지 서비스 등 극단적 선택 시도자들이 심리적 안정과 일상 복귀를 도울 수 있는 맞춤형 후속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통합적 지원을 통해 극단적 선택 위험도 감소 및 재발 방지라는 구체적인 성과를 달성했다.
지난해 665명의 극단적 선택 시도자를 지원하며 1인당 평균 지원 금액은 약 98만 원으로, 2020년 약 61만원 대비 60.2% 증가했다. 치료비 지원 대상자 중 88.7%가 4회 이상의 병원기반 단기 사례관리를 완료했으며, 이로 인해 극단적 선택 위험도가 평균 65.8%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특히, 재단이 2016년부터 선도적으로 지원한 본사업은 2023년부터 복지부와 협력해 국비가 투입되면서 국가와 민간이 발맞춰 복지서비스의 안정성을 공고히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저소득층 및 중위소득 120% 이하 대상자는 국비로 지원하고, 재단은 상황적·경제적 위기 대상자를 중심으로 지원해 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했다.
지난해 치료비 지원 대상자 중 남성이 53%로 여성보다 많았고, 40~50대가 42.8%로 나타났다. 극단적 선택 시도 수단으로는 독성 물질에 의한 중독 또는 노출이 69.9%로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25.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인천 16.8%, 충남 15.8%, 서울 15.4%가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치료비 지원 대상자 중 소득이 없는 경우가 33.8%로 나타났으며, 이들이 처한 긴급한 상황과 경제적 위기를 지원하는 데 사업의 실질적 필요성이 확인됐다.
김정석 생명보험재단 상임이사는 "의료비 지원과 함께, 심리적 회복과 사회복귀를 위한 후속관리까지 통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국가와 민간의 협력을 통해 극단적 선택 예방과 재시도 방지라는 실질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재단은 앞으로도 위기 상황에 놓인 생명을 보호하는 역할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jcppar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