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젤, 덱스레보의 액상형 고분자 필러 국내판권 확보

"기존 제품 파이프라인 확대하며 사업 다각화 추진"

본문 이미지 - 지난 7일 휴젤 서울사무소에서 휴젤과 덱스레보의 MOU 체결식이 진행됐다. 휴젤㈜ 손지훈 대표(오른쪽)와 덱스레보 유재원 대표(왼쪽)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뉴스1
지난 7일 휴젤 서울사무소에서 휴젤과 덱스레보의 MOU 체결식이 진행됐다. 휴젤㈜ 손지훈 대표(오른쪽)와 덱스레보 유재원 대표(왼쪽)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뉴스1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메디컬 에스테틱 기업 휴젤은 의료기기 기업 덱스레보와 생분해성 재료(PCL)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직수복용의료기기(액상형 고분자 필러)의 국내 판매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에 따라 휴젤은 덱스레보가 생산하는 액상형 고분자 필러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권을 갖는다. 해외 지역에서의 독점판권에 대한 우선협상 지위도 얻었다. 현재 양사는 세부 계약에 관한 조건을 협의하고 있다.

덱스레보는 2013년 설립된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 의료기기 제조회사다. 이번 협약 제품인 액상형 고분자 필러에는 PCL을 잘게 미립자화해 액상 형태로 만들 수 있는 덱스레보의 'CESABP'(Collagenesis-Enabled Solubilized Active Biodegradable Polymer) 기술이 적용됐다.

휴젤에 따르면 PCL은 오랜 기간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면서 체내 안전성을 입증했다. 체내 지속 기간이 길고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있다. 다만 피부 내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액상화 기술의 구현이 어려워 시장 진입장벽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휴젤은 "덱스레보는 독자적인 PCL 액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제품을 개발했다. 국소 부위의 깊은 주름 개선을 돕는 기존 필러와 달리, 피부 주입 시 고르게 퍼지고 천천히 분해된다"고 설명했다.

덱스레보는 올해 유럽 인증(CE)을 획득했으며 2022년 국내 출시를 목표로 230명 환자 대상의 대규모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휴젤은 출시 후 이 제품의 국내 독점 판매를 맡는다.

휴젤 관계자는 "덱스레보와의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갖춘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며 "기존 제품들에 대한 지속적인 파이프라인 확대 및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세계 시장에 휴젤의 기업 가치를 높여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ksj@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