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조유리 기자 = 대한한의사협회는 내년도 의과대학 정원 증원 '0명' 확정 발표에 따라 의사 인력 절벽 문제가 현실화됐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의사를 지역과 1차 의료에 투입해야 한다고 정부와 대통령 후보자들에게 촉구했다.
한의협은 18일 입장문을 통해 "대한민국을 큰 혼란에 빠뜨렸던 의대 증원 방침은 불과 1년 만에 없던 일이 돼버렸으며, 양의사 수급난으로 인해 1차 의료와 필수의료가 위기에 빠지고 국가 보건의료체계에 크나큰 공백이 우려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가장 합리적인 대안은 한의사를 지역과 1차 의료 등에 투입해 의료 수요의 일정 부분을 메우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의협은 △농어촌 한의과 공보의 역할 확대 △한의사 지역필수공공의료한정의사제도 도입 △돌봄·주치의 제도에 한의사 적극 활용 △한의사 예방접종 시행을 촉구했다.
한의협은 "올해 선발된 의과 공보의는 250명으로, 필요 적정 인원인 705명의 35%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농어촌 의료취약지역의 1차 의료 공백이 커지고, 의료체계 자체가 무너지는 것은 시간문제로 한의과 공보의를 투입해 활용하는 '1차의료전담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의과 공보의에게 일정 기간 교육 수료 후 일차의료에 필요한 경미한 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농어촌의료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한 "지역사회 및 취약계층의 의료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돌봄 한의사(주치의’ 제도를 도입하고 이를 한의의료의 장점인 방문진료서비스와 연계하여 국민들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건강관리를 실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침과 뜸, 부항 등 치료를 위한 각종 의료기기의 휴대가 용이한 한의진료는 방문진료를 통해 의료사각지대에 있는 환자들에게 내원과 유사한 진료 효과를 줄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고 했다.
아울러 "지역의 공공 필수의료분야에 종사하도록 하는 방안인 '지역필수공공의료한정의사제도' 도입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이 제도는 한의사가 2년의 추가 교육을 받고 국가시험을 합격한 다음 필수의료 분야의 전문의 과정을 밟는 '3단계 투명한 과정'으로 이뤄진다.
한의협은 "지역필수공공의사 충원을 위해서는 적어도 6~14년(군복무 고려 시 최대 14년)이 필요하지만 한의사를 활용한다면 추가교육과 국가시험을 통해 4~7년을 앞당겨 지역필수공공의사 수급난을 조기에 해소할 수 있다"고 했다.
끝으로 "한의사를 비롯한 타 보건의료인직역에도 예방접종 시행 권한을 줘야 한다"며 정부와 여야 대통령 후보자들 캠프에 "국민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진료받을 수 있는 의료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의사인력절벽 문제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ur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