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사임을 압박하는 상황에서 백악관 또한 그의 해임 문제를 계속 검토하고 있다고 18일(현지시간) 밝혔다.
AFP통신에 따르면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취재진으로부터 '파월 의장의 해임이 전과 달리 지금은 가능한 선택지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팀은 그 문제를 계속 검토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을 향해 "항상 너무 늦고 틀리다"며 금리인하를 압박하고 해임까지 언급한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다만 해싯은 과거 파월 의장의 해임에 부정적이었던 인물이다.
지난 2021년 해싯은 자신의 저서 '더 드리프트: 미국의 사회주의화 방지'에서 트럼프가 파월을 해임하면 연준의 독립성과 객관성을 해칠 수 있으며 달러의 신뢰성과 주식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었다.
하지만 백악관에 몸담게 된 만큼 과거의 입장에서 거리를 뒀다. 해싯은 "(책을 쓸 당시) 시장은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상황이었다"며 "당시에는 우리가 가진 법적 분석에 근거해 말한 거고, 새로운 법적 분석이 다른 결론을 제시한다면 우리는 대응을 재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트럼프는 전날 관세 정책의 악영향을 경고한 파월을 향해 금리 인하를 압박하며 "파월의 임기는 빨리 끝나야 한다", "내가 그의 사임을 바라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트럼프는 다음날인 18일에도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물가가 내려가고 있다면서 "만약 자기가 뭘 하고 있는지 이해하는 연준 의장이 있었다면 기준금리가 내려가고 있을 것이다. (파월은) 기준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재차 압박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가 지난 몇 개월간 파월의 해임 방안을 비밀리에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연준 의장은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상원의 인준을 받아야 하고 정당한 사유가 있을 때만 해임할 수 있다. 금리 같은 정책 이견은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경제학자들과 투자자들은 트럼프와 파월의 갈등을 불안한 시선으로 지켜보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중앙은행으로서 연준의 높은 신뢰도는 정치적 독립성이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파월을 해임하려는 움직임은 이미 트럼프발 관세 정책으로 흔들리는 자본 시장에 더 큰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투자 자문업체 에버코어ISI의 크리슈나 구하 부회장은 "연준의 독립성에 대한 위협이 갑작스럽게 구체화하면 시장의 스트레스가 심해질 뿐 아니라 스태그플레이션 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극단적 위험 또한 급격히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past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