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늘려라."
"미국 빅테크(기술 대기업)에 대한 세금을 인하하고 규제를 풀어라."
"중국산 제품의 우회 수출을 막아라."
"농산물과 소고기 시장을 열어라."
워싱턴포스트(WP)는 각국과의 무역 협상에 참여했거나 정보를 전달받은 소식통 10명을 인용해 백악관이 원하는 양자 협상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고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맞춤형 협상'과 '원스톱 쇼핑'을 예고한 트럼프 행정부가 향후 주요 교역국과 90일간의 유예 기간 진행할 양자 협상에서 대미 관세 인하 외에도 주요 비관세 장벽 철폐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의 관세 책사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고문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지식재산권 절도와 미국산 수입쿼터 제거 등을 언급했다.
특히 미국은 베트남과 멕시코 등 대미 수출 기지로 이용되는 국가를 향해 미국의 관세를 피하려는 중국 기업과 제품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지 말라고 경고한 상태다.
보수 성향 싱크탱크인 아메리칸컴퍼스의 대니얼 키시 정책분석가는 WP에 "미국은 베트남에서 온 상품이 실제 베트남 상품인지 확인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키시는 트럼프의 관세 팀이 다른 나라들도 중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도록 압박하고, 중요 분야에서 중국이 공급망을 통제하지 못하도록 다른 도구 또한 사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때 관세국경보호청(CBP)에서 근무했던 무역 전문 변호사 리처드 모지카는 "(관세 정책은) 중국을 겨냥한 것"이라며 "멕시코는 중국 상품 수입을 제한하는 데 합의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면 미국 제품이 더 많은 국가에 진출할 수 있고 중국의 대미 접근도 제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각국은 미국의 이 같은 요구를 선뜻 들어줄 수 없는 입장이다. 베트남은 수입의 약 4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번 주 베트남을 직접 찾을 예정이다.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원하는 말레이시아와 방글라데시, 태국도 미국보다 중국과 더 경제적 관계가 더 깊다.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USTR 부대표를 맡았던 세라 비앙키는 "많은 국가, 특히 아시아 국가들은 중국과 경제적으로 밀접하게 얽혀 있다"며 "그들에게는 미국과 팀을 이뤄 중국과 맞서려는 생각이 별로 없다. 특히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충격을 겪은 이후엔 더더욱 그럴 것"이라고 분석했다.
유럽에 대해서는 미국 거대 기술기업에 대한 세금 인하와 규제 완화, 농산물 수입 제한 완화, 소고기 수입 제한 철폐 등이 요구사항으로 거론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 같은 미국의 요구가 제조업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되찾는 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진보성향 싱크탱크 미국경제자유프로젝트의 무역 담당 국장은 "단순히 유럽의 기술 관련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없애고 소고기 수입을 가능하게 하는 게 목표라면, 그건 세계와의 만성적인 무역 적자를 줄이는 것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past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