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최종일 선임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서명한 행정명령 가운데 개별 상호관세 조치가 9일 오전 0시 1분(미 동부 현지시간, 한국시간 9일 오후 1시)부터 발효된다. 기본관세 10%는 앞서 지난 5일 시행에 들어갔다.
개별 상호관세 대상은 총 57개국으로 한국의 관세율은 25%다. 주요 국가별 관세율은 중국 34%, 유럽연합(EU) 20%, 일본 24%, 베트남 46%, 대만 32%, 인도 26% 등이다. 또 태국에는 36%,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캄보디아 49%, 남아프리카공화국 30% 등이 적용된다. 아프리카 남부 내륙국인 레소토의 경우 가장 높은 50%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
상호관세 발표 이후 촉발된 글로벌 증시 폭락과 중국 등 일부 국가의 반격에도 트럼프는 상호관세는 예정대로 발효된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지난 7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의 정상회담 모두 발언 후 '90일간의 관세 유예 요청에 대해 고려하느냐'는 기자 질문에 "우린 그런 것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와 계약을 맺기 위해 찾아오는 나라가 아주 많다"며 각국과의 협상이 진행될 것임을 시사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7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50, 60, 어쩌면 거의 70개국이 트럼프 행정부와 접촉해 협상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설계자로 알려진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은 "관세를 피하고 싶은 국가들은 백악관 전화가 끊임없이 울리도록 하라"며 이 같은 접촉을 환영했다.
미국의 '관세 폭탄'에 맞서 중국은 오는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34%의 관세 부과로 비례 대응한다고 지난 4일 밝혔다. 또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 특정 기업에 대한 이중용도 품목 수출 금지,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여러 대응책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는 중국 당국이 8일 정오까지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우리가 부과한 관세에 50%의 관세를 추가할 것"이라고 밝혀 무역 전쟁의 포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allday3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