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만? 틱톡·가전·쇼핑몰 민감정보 줄줄…'차이나테크 포비아'

한국 비롯해 이탈리아·호주·대만 등 각국, 딥시크 신규 다운로드나 정부 내 사용금지
'틱톡 사태' 美 금지법까지 발의…영국선 "中 에어프라이어 앱이 대화 엿들어" 논란

딥시크 이미지. ⓒ 로이터=뉴스1 ⓒ News1 허정현 기자
딥시크 이미지. ⓒ 로이터=뉴스1 ⓒ News1 허정현 기자

(서울=뉴스1) 최종일 기자 =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최근 내놓은 생성형AI 모델의 사용을 금지하는 국가들이 늘고 있다. 중국 틱톡·화웨이 등에 이어 또다시 중국 기술제품이 정보 유출 우려에 휩싸이면서, 중국 통신·전자 제품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포증(포비아)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가장 최근에 딥시크에 철퇴를 가한 국가는 한국이다. 개인정보보호 당국은 17일 딥시크 앱의 국내 다운로드를 중단했다고 밝히며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개선·보완이 이뤄진 후에 서비스가 재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제3사업자와 통신 기능 및 개인정보 처리 방침상 미흡한 부분이 일부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정부 부처와 각종 기관에서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접속을 못하도록 한 데 이어 다운로드도 막은 것이다. 딥시크 앱 주간 사용자는 약 120만명으로 챗GPT 다음으로 많기 때문에 신속한 대책이 나왔다.

세계 각국, 정보유출 우려에 딥시크 차단 행렬

딥시크는 저비용·고기능 모델인 'R1' 출시 직후엔 전세계적으로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지만 이후 개인정보보호와 국가 안보 문제로 각국에서 논란에 휩싸여 있다.

한국뿐 아니라 이탈리아도 애플과 구글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앱의 신규 다운로드를 금지했다. 호주와 대만, 알바니아는 모든 정부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막았다. 호주 과학부는 "솔직하고 직접적으로 말해 (딥시크 사용을)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일본에선 요코하마시와 돗토리현 등 지자체를 비롯해 도요타와 소프트뱅크 등 민간 기업들 사이에서 업무이용 금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개인정보를 포함한 데이터가 중국 내 서버에 보존되고 중국의 법령이 적용된다고 해, 일본 내에서 경계감이 퍼지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에선 뉴욕과 텍사스, 노스캐롤라이나, 버지니아주가 주정부 내 사용을 막았다. "(중국이) 딥시크를 이용해 미국 시민들의 민감 정보를 훔치고 있다"면서 연방정부 내에서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도 발의된 상태다.

초당적 입법 발의는 딥시크가, 미국에서 사업이 금지된 국영기업 차이나모바일과 연관됐다는 의혹이 드러난 뒤 이뤄졌다. ABC뉴스는 캐나다 사이버보안 업체 페루트 시큐리티 연구진이 의도적으로 숨겨진 것으로 보이는 딥시크 코드를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이 코드는 데이터를 차이나모바일이 관리하는 웹페이지로 전송한다는 것이다.

홈카메라·로봇청소기·전기차·알리·테무…中 기술제품 경계

미국 내 딥시크 금지 움직임은 수년 전, 정보 유출 우려에 따라 중국 소셜미디어(SNS) 틱톡을 막았을 때와 유사하다. 틱톡 금지법은 틱톡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근거로 2022년 12월 바이든 당시 대통령 때 의회를 통과했다. 이로써 연방정부와 기관 내 기기에서 틱톡 사용이 막혔다.

미국 의회는 지난해 4월 바이트댄스에 틱톡을 매각하거나 미국 앱스토어에서 빠지라는 내용의 법안을 통과시켰다. 바이트댄스가 미국인 개인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할 수 있단 우려에서였다. 법안은 바이트댄스가 틱톡을 165일 안에 매각하도록 했다.

다만, 2020년 틱톡 금지를 추진했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기 정부 출범 뒤 입장을 바꿔 미 법무부에 75일간 틱톡 금지 조치를 집행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 공동 경영 또는 협력 방안을 모색하며 바이트댄스와의 협상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중국산 통신·전자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해 개인정보 유출 문제는 최근 몇년 동안에 빈번해지고 있다.

앞서 2022년에는 일부 중국산 가정용 CCTV(홈카메라)가 클라우드를 사용하게 되면 가정 내 영상이 중국 등 해외 데이터센터로 전송되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된 바 있다.

한국 로봇청소기 시장을 장악한 로보락 등 중국 가전업체들이나 글로벌 시장에서 무섭게 성장한 중국 전기차업체들 또한 사용자 정보의 수집 및 처리를 둘러싸고 의혹의 시선을 받고 있다.

지난해 11월 영국에선 중국 샤오미 등 에어프라이어 제품과 연동된 앱이 사용자의 전화 통화 내용이나 대화를 수입해 틱톡 등 중국 IT 회사로 공유한다는 소비자단체의 발표가 나와 논란이 일었다.

국내에선 지난해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로 대표되는 C커머스 업체들이 국내 이용자 개인정보를 유출했을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제기돼 우리 당국이 주요 해외직구 업체들의 개인정보 수집 절차와 이용실태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이렇다보니 '나도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공포감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중국 측에선 볼멘소리가 나온다. 싱가포르 신문 리엔허 자오빠오 산하 친중국 영문 잡지 '싱크차이나'는 "서구 정치인들은 중국의 도전에 직면했을 때 동일한 플레이북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며 △미국 기술 모방 주장을 통한 신용 떨어뜨리기 △사용자 데이터 이전 주장을 통한 안보 우려 제기 △중국 앱과 제품 금지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중국 외교부는 17일 한국 정부가 딥시크에 대해 국내 앱마켓 서비스를 중단한 데 대해 "경제, 무역, 과학기술 문제를 정치화하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입장을 냈다.

allday33@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