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케네디·킹 목사 암살 기밀문서 공개 명령…"모두 밝힐 것"

케네디 대통령·케네디 전 법무장관·킹 목사 사건까지 3건
복지부장관 지명된 케네디 주니어에 '서명 펜' 건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과 로버트 F. 케네디 전 법무장관, 마틴 루서 킹 목사 등 3명의 기밀 자료를 공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을 한 뒤 들어 보이고 있다. 2025.01.23.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과 로버트 F. 케네디 전 법무장관, 마틴 루서 킹 목사 등 3명의 기밀 자료를 공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을 한 뒤 들어 보이고 있다. 2025.01.23.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뉴스1) 조소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 등 미 역사에서 주요하게 꼽히는 3건의 암살 사건들에 관한 기밀문서를 해제하는 행정명령에 23일(현지시간) 서명했다.

CNN 방송 등에 따르면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 집무실(오벌 오피스)에서 케네디 전 대통령, 그의 동생인 로버트 F. 케네디 전 법무장관, 인권운동가 마틴 루서 킹 목사 암살 사건에 관한 기밀문서 해제 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는 "이것은 중요한 일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일을 오랫동안, 수년, 수십 년간 기다려 왔다"고 말했다.

이 명령에는 우선 국가정보국장(DNI)과 법무부장관을 향해 케네디 전 대통령 암살 사건 기록의 '완전한 공개' 계획을 '15일 이내'에 대통령에게 제출해야 한다고 돼 있다.

사실 케네디 전 대통령 암살 사건에 대한 문서는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공개된 1만 3000건을 포함, 이미 여러 건 공개됐었으나 편집본이라는 점이 지적돼 왔다. 미 중앙정보국(CIA), 국방부, 국무부는 정보원의 신원 보호 등을 이유로 여전히 공개 거부 문서를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이외 케네디 전 법무장관과 킹 목사 암살 기밀문서에 대한 공개 계획 제출 일정은 '45일 이내'로 정해졌다.

본문 이미지 - 대선 후보였던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가 지난 5월 1일 뉴욕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14일(현지시간) 보건복지부 장관에 백신 음모론자로 알려진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를 지명했다. 2024.11.14.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대선 후보였던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가 지난 5월 1일 뉴욕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14일(현지시간) 보건복지부 장관에 백신 음모론자로 알려진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를 지명했다. 2024.11.14.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트럼프는 첫 임기 당시 정보기관 등의 요청에 따라 케네디 대통령 사건에 관한 전체 기록을 공개하지 않기로 합의했었으나, 지난해 대선에 다시 나서면서는 '나머지 문서를 공개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이번 명령에는 케네디 전 장관의 아들이자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건복지부(HHS) 장관으로 지명된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의 의중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케네디 주니어는 큰아버지(케네디 대통령) 사망 사건에 CIA가 연루됐다거나 아버지(케네디 전 장관)를 죽인 암살범이 자백했음에도 불구하고 엉뚱한 사람이 유죄 판결을 받았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해 왔다.

트럼프는 이날 행정명령에 서명한 펜을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에게 줬다.

트럼프는 "모든 것이 밝혀질 것"이라며 "그들의 가족과 미국 국민들은 투명성과 진실을 마땅히 누릴 자격이 있다. 이러한 암살 사건과 관련된 모든 기록을 지체 없이 공개하는 것은 국가 이익에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cho11757@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