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 30일 부분휴전 이어 '흑해 휴전' 합의…우크라도 동의

에너지 부분휴전 이행 위한 조치 개발하기로…제3국 감독 허용
러 "서방 금융제재 및 식량·비료 수출 제재 해제해야" 조건

24일(현지시간) 민간군사기업(PMC) 바그너 용병단이 무장반란을 일으킨 날 러시아 모스크바의 크렘린 대통령궁 전경. 지붕 위 러시아 국기가 펄럭이고 있다. 2023.06.24/ ⓒ AFP=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24일(현지시간) 민간군사기업(PMC) 바그너 용병단이 무장반란을 일으킨 날 러시아 모스크바의 크렘린 대통령궁 전경. 지붕 위 러시아 국기가 펄럭이고 있다. 2023.06.24/ ⓒ AFP=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서울=뉴스1) 김지완 기자 = 미국과 러시아가 에너지 인프라 부분 휴전에 이어 흑해 해상에서 공격을 중단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우크라이나 역시 동의 의사를 밝히면서 3년 넘게 이어져 온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식을 위한 휴전 협상이 진전을 이어가게 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크렘린궁은 25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미국 대표단과의 휴전 협상과 관련, 흑해에서의 안전한 항해를 보장하고, 무력 사용을 중단하며, 상업용 선박의 군사적 목적 사용을 방지하기로 했다면서 "흑해 곡물협정의 이행을 보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크렘린궁은 이러한 흑해에서의 안전한 항해 보장을 위해 러시아의 국영 농업은행인 로셀호즈뱅크에 대한 제재를 해제하고, 이 은행의 국제결제시스탬 '스위프트'(SWIFT)에 대한 접근을 복원시켜 줘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또 식량·비료 수출 기업, 보험사, 식량·비료 운송 기업, 선박 운항 등에 대한 제재 해제도 요구했다.

미국은 농산물 및 비료 수출을 위해 러시아의 세계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기로 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하기는 너무 이르지만 이 회담은 올바른 회담이고, 올바른 결정이었으며 올바른 단계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흑해에서 즉각적인 해상 휴전이 시작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크렘린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30일 간 에너지 인프라 휴전 합의를 이행하기 위한 조치를 개발하기로 합의했다며 "당사자 중 한쪽이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합의를 철회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양국은 이 합의를 이행하기 위해 제3국의 개입에도 문을 열어놓기로 했다. 젤렌스키 대통령도 제3국의 이행 여부 감독에 대해 미국과 동의했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 대표단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23일 우크라이나, 24일 러시아 대표단과 각각 회담을 가졌다.

gwki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