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 산불' 피해 4만8150ha…서울 면적 80% 태웠다

중대본 "사망자 28명, 중상자 9명, 경상자 28명"
주택, 농장 등 3481개 시설 피해…대부분 건조주의보

28일 오전 경북 영덕군 산불 현장에서 해병대 1사단 병력이 잔불 정리작업에 투입되고 있다. 2025.3.28/뉴스1 ⓒ News1 최창호 기자
28일 오전 경북 영덕군 산불 현장에서 해병대 1사단 병력이 잔불 정리작업에 투입되고 있다. 2025.3.28/뉴스1 ⓒ News1 최창호 기자

(서울=뉴스1) 이설 기자 = 경남 산청·하동, 경북 의성·안동 등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한 피해 구역이 4만8150㏊로, 역대 최대 규모를 경신했다. 산불로 인한 부상자도 5명 늘어 총 6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2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1일부터 전국에서 발생한 중·대형 11개 산불로 인해 경북 24명, 경남 4명 등 총 28명이 사망했다. 경북 4명, 경남 5명 등 중상자는 9명이고 경북 22명, 경남 4명, 울산 2명 등 경상자는 28명이다.

불에 탄 산불영향 구역은 이날 오전 9시 기준 4만8150㏊로 집계됐다. 산림 피해 규모로 보면 역대 최대다. 또 축구장 크기(0.714㏊)로 환산할 경우 약 6만7400개, 여의도 면적(290㏊)의 166배, 서울 면적(6만523㏊)의 80%, 제주도(18만5027㏊)의 26%에 달한다.

전북 무주, 경남 김해, 충북 옥천, 울산 울주 언양·온양의 산불은 완전히 진압됐고 경북 의성·안동·영덕·영양·청송, 경남 산청·하동에서 산불 6건이 진행 중이다.

진화율과 산불영향 구역은 △경북 의성(95%·1만2821㏊) △경북 안동(85%·9896㏊) △경북 영덕(65%·8050㏊) △경북 영양(76%·5070㏊) △경북 청송(89%·9320㏊) △경남 산청·하동(86%·1770㏊)이다.

이날 오전 5시 기준 산불영향 구역의 날씨는 흐리고 건조주의보가 발효돼 있다.

대부분 지역에 소방 대응 최고 단계가 발령됐다. 지역별 소방 대응 단계는 △경북 의성·안동·영덕·영양·청송(3단계) △경남 산청·하동(3단계)다.

소방 대응 3단계는 5개 이상 소방서가 보유 자원을 총력 가동하며 소방서장이나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청장이 지휘하고 국가 차원의 지원을 하게 된다.

이날 오전 5시 기준 경남 30대, 경북 79대 등 총 109대의 헬기가 투입됐다. 진화대 1033명, 공무원 2245명, 군‧경찰‧소방 4664명 등 8118명이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산불로 인해 거주지로부터 대피한 주민은 이날 오전 5시 기준 총 8078명이다. 산청‧하동 1616명, 의성 1295명, 청송 698명 등이다.

주택·공장·사찰·문화재 등 불에 탄 시설물은 잠정 추산 3481개소다. 경북지역 3396개소, 경남지역 72개소, 울산지역 11개소다. 경북에선 주택 2163개소가 전소됐고, 농업시설 1071개소가 불에 탔다.

sseol@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