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신윤하 기자 =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선고기일을 오는 4일로 지정한 가운데, 경찰이 선고 당일 일어날 수 있는 유혈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경찰은 선고 당일 '갑호비상'을 발령하고, 헌법재판소 100m 이내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등 대비에 만전을 기울이겠단 방침이다.
1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경찰은 선고 당일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사태인 유혈 사태까지 고려한 경비 계획 보강에 막바지 총력을 다하고 있다.
경찰은 선고 당일 전국에 비상근무 태세 중 가장 높은 등급인 갑호비상을 발령해 경찰력 100%를 동원한다. 갑호비상은 치안 사태가 악화하는 등 비상 상황 시 발령하는 경찰 비상 업무 체제로, 경찰 연가가 중지된다. 선고 전날 서울엔 '을호비상'을 발령할 예정이다. 을호비상은 두 번째로 높은 비상근무 단계로, 가용 경력 50% 이내에서 동원이 가능하다.
폭력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해 전국 기동대 338개 부대 소속 2만여 명을 동원하고, 그중 62%인 210개 부대 소속 1만 4000명을 서울에 집중적으로 배치할 예정이다.
기동대는 이날 상하의 방검복과 방검장갑 등을 착용하고, 캡사이신 분사기, 120㎝ 경찰 장봉 등을 지참해 과격 시위에 대비한다. 경찰이 집회 참가자를 향해 캡사이신 분사기를 사용한 것은 지난 2017년 3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가 마지막이었다.
경찰은 8년 전 박 전 대통령 탄핵 선고일 때와 마찬가지로 헌재 인근에서 가장 폭력 사태가 많이 일어날 것이라 보고, 헌재 100m 반경 내에 외부인이 출입하지 못하게 제한할 예정이다. 헌재 외 서울 지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불상사는 서울 도심을 8개 권역으로 나눠 '특별범죄예방 강화구역'으로 지정해 대비한다.
경찰은 선고를 앞두고 집회 열기가 뜨거워질 것을 고려해, 선고 며칠 전부터 헌재를 진공상태로 만들지 논의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헌재 주변을 언제부터 진공상태로 만들지는 현재 내부에서 회의 중"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이미 시위대가 헌재에 난입할 가능성을 대비해 헌재 담장 위 철조망을 설치하고 경찰 차량·펜스를 보강한 상태다.

이같은 조치는 2017년 박 전 대통령 탄핵 선고 당일 흥분한 지지자들이 경찰 버스를 탈취하고, 헌재 난입을 시도하면서 총 4명이 목숨을 잃었던 것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시위대는 다수의 경찰과 취재진, 시민들을 폭행했다. 지난 서부지법 난동 사태 당시에도 51명이 부상을 당했다.
경찰은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임박할수록 위협을 받는 헌법재판관에 대한 신변 보호 수준도 강화할 예정이다. 경찰은 헌법재판관 모두에게 전담 신변 보호를 하고 있고, 자택 안전 관리도 112 순찰과 연계해 지속하고 있다.
경찰은 탄핵 심판일 전후로 신변 보호 인력을 추가로 배치할 계획이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전날(31일) 정례브리핑에서 "자세한 내용이나 몇 명이나 (추가 배치되는지)는 신변 보호·경호 문제라 말씀드릴 순 없지만 그런 문제가 없도록 자택, 헌재 주변까지 신변 보호를 철저히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이 헌법재판관들의 경호에 주의를 기울이는 건 윤 대통령 지지자와 유튜버들의 위협이 도를 넘고 있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지난 25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 심판에서 유일하게 인용 의견을 낸 정계선 재판관의 자택으로 알려진 주소를 공유하고, 실제 주소지를 찾아 정 재판관을 위협했다.
만약 윤 대통령이 선고 기일에 직접 출석해 헌재에 모습을 드러낸다면 소요 사태는 더 격화할 전망이다. 윤 대통령 대리인단은 대통령의 출석 여부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단 입장이다. 경찰 관계자는 "대통령이 직접 모습을 드러내는지 여부가 선고 당일의 가장 큰 변수"라며 "대통령이 등장하면 지지자들의 흥분이 정점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sinjenny97@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