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서울시는 올해 전기승용차에 보조금을 최대 630만 원까지 지원한다고 23일 밝혔다.
전기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통한 배터리 이상 징후 알림 기능 탑재, 제조사의 4년 무상 지원이라는 조건을 충족할 경우 추가보조금도 지원한다.
서울시는 올해 총 9276대의 전기차를 보급한다. 민간에 9096대, 공공에 180대를 각각 상·하반기 나눠 보급한다. 민간 보급 9096대를 차종별로 살펴보면 △승용차 5000대 △화물차 700대 △이륜차 1800대 △택시 1200대 △시내·마을버스 383대 △어린이 통학차량 10대 △순환‧통근버스 3대다.
전기차 충전 안전 인프라 구축에는 55억 원을 투자한다. 전기차 화재 대비 안전설비 지원에도 나선다.
택시의 경우 일반 승용차량에 비해 주행거리가 길지만 배터리 보증기한이 동일하다는 점을 감안, 배터리 보증기한(5년/35만㎞) 이상인 차량에 대해 시 보조금 10만 원을 추가 지원한다. 전기 택시 보급을 확대하는 취지다.
전기화물차는 차종에 따라 최대 1350만 원까지 지원한다.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큰 화물차의 경우 제조·수입사와 협력해 지원을 강화한다.
제조‧수입사에서 차량가 할인(50만 원)시 시비를 50만 원 추가 지원한다. 특히 택배차량은 50만 원을 더해 최대 15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시내·마을버스는 올 상반기에 130대를 보급할 예정이다. 전기 시내‧마을 버스는 최대 1억 4000만 원까지 지원한다.
어린이 통학버스의 경우 어린이통학차량 신고필증을 발급받은 자(예정자 포함) 중 대표자 및 사업장 주소 모두 서울시인 경우에 신청할 수 있다. 최대 1억 5000만 원까지 지원한다.
복지‧의료 시설 등의 순환‧통근버스는 법인차량에 한해 신청할 수 있으며 대당 최대 1억 4000만 원까지 지원한다.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다음 달 3일부터 접수한다. 전기이륜차 신청일은 별도 공고 예정이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말 기준 전기차 누적 보급량 10만 대를 달성했다. 지난 해만 보면 전기차 1만 3569대를 보급해 약 9만 7000t의 CO2eq를 감축했다. 연간 소나무 약 70만 그루를 심는 것에 맞먹는 효과다.
alicemunr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