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안 찾아도 돼요"…구조견 은퇴식 영상에 두 번 감동한 이유

한국인명구조견협회, 구조견 은퇴식 열어
훈련사가 반려견 양성…함께 활동 후 은퇴

본문 이미지 - 한국인명구조견협회는 지난해 12월 서울 광진구 한국애견협회센터에서 인명구조견들의 은퇴식을 진행했다. (협회 제공) ⓒ 뉴스1
한국인명구조견협회는 지난해 12월 서울 광진구 한국애견협회센터에서 인명구조견들의 은퇴식을 진행했다. (협회 제공) ⓒ 뉴스1

(서울=뉴스1) 한송아 기자 = "구조견이 은퇴 후 입양처를 찾지 않아도 된다니 정말 이상적이고 아름다운 일입니다."

"얼굴에 난 하얀 털들이 그간의 희생과 시간을 말해주는 것 같습니다."

최근 한국인명구조견협회 회원이 인스타그램에 게시한 은퇴식 영상에 수백명이 공감한 댓글 내용이다. 꽃목걸이를 목에 건 구조견들이 나란히 단상에 서 있는 해당 은퇴식 영상은 조회수 46만회, 좋아요 4만6000개 이상, 댓글 850여개를 기록하며 응원을 받았다. 특히 누리꾼들은 구조견의 은퇴 후 생활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7일 한국인명구조견협회(회장 유병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광진구 한국애견협회센터에서 협회 소속 인명구조견들의 은퇴식을 진행했다. 지난 1999년 협회가 설립된 이후 두 번째로 열린 은퇴식이다.

은퇴식에서는 총 10마리 개에게 화환과 공로패를 전달하는 행사와 함께 세상을 떠난 구조견들을 기리는 시간을 가졌다.

본문 이미지 - 한국인명구조견협회 은퇴식에 참석한 반려견의 얼굴에 흰 털이 나 뭉클함을 자아냈다. ⓒ 뉴스1
한국인명구조견협회 은퇴식에 참석한 반려견의 얼굴에 흰 털이 나 뭉클함을 자아냈다. ⓒ 뉴스1

비영리단체인 한국인명구조견협회는 한국애견협회 소속 훈련사들이 자신의 반려견을 구조견으로 양성해 실종자 구조·수색 봉사에 참여한다. 따라서 군견이나 탐지견 등 국가기관에 소속된 특수목적견처럼 은퇴 후 남은 생을 가정에서 돌봐줄 가족을 찾아주지 않아도 된다. 현재 약 60여명 회원이 반려견과 활동하고 있다.

이번에 은퇴한 구조견은 △이태원 씨의 반려견 팀파니와 이케 △이재연 씨의 반려견 이설과 이호 △김상인 씨의 반려견 마루 △채정아 씨의 반려견 말리와 엠제이 △신동균 씨의 반려견 수원 △구슬기 씨의 반려견 후치 △오은숙 씨의 반려견 루이스다.

이날 협회 회원들은 코로나19 시기에 은퇴식을 열지 못한 사이 노환으로 세상을 떠난 구조견 RD와 군도, 칸을 영상으로 추억하는 시간도 가졌다.

본문 이미지 - 박은이 한국인명구조견협회 총무의 반려견 RD가 생전 구조견 활동을 할 때 모습 (박은이 제공) ⓒ 뉴스1
박은이 한국인명구조견협회 총무의 반려견 RD가 생전 구조견 활동을 할 때 모습 (박은이 제공) ⓒ 뉴스1
본문 이미지 - 한국인명구조견협회 소속 훈련사와 구조견이 눈이 내린 산속에서 수색하는 모습 (협회 제공) ⓒ 뉴스1
한국인명구조견협회 소속 훈련사와 구조견이 눈이 내린 산속에서 수색하는 모습 (협회 제공) ⓒ 뉴스1
본문 이미지 - 한국인명구조견협회 소속 훈련사(핸들러)와 구조견이 훈련하는 모습 (협회 제공) ⓒ 뉴스1
한국인명구조견협회 소속 훈련사(핸들러)와 구조견이 훈련하는 모습 (협회 제공) ⓒ 뉴스1

협회에 따르면 구조견은 매년 적게는 10회에서 많게는 30회까지 실종자 수색을 위해 출동한다. 구조 활동은 실종 신고된 장소에서 구역을 여러 개로 나눠 동시에 찾아야 하므로 출동해서 수색 활동에 참여하는 것 자체가 실적이다.

구조견의 은퇴 시기는 보호자가 반려견의 상태를 보고 결정한다. 보통 반려견이 건강하다면 약 7~8년 정도 활동한다.

박은이 한국인명구조견협회 총무는 "협회 회원들은 어떤 보상이나 지원 없이 훈련사로서의 재능을 사회에 기부하기 위해 봉사에 참여해 많은 분을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왔다"며 "SNS에 올린 은퇴식 영상을 보고 응원해 주시고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이어 작은 소망도 전했다. 그는 "자살한 실종자 발견 시 봉사자들이 트라우마를 겪곤 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활동을 위해 사람을 위한 심리 지원과 수색 활동에 참여한 구조견을 위한 의료 지원이 이뤄지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해피펫]

badook2@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